이는 지난해 휘몰아친 금연열기로 인해 지방세로 편입되는 담배소비세가 크게 줄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새해벽두 애연가들의 '금연 결심'이 급증하고 있어 지방자치단체들을 더욱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지난주 KT&G(한국담배인삼공사) 전남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광주ㆍ전남지역에 담배소비세로 납부한 금액은 1천150억1천134만원으로 전년의 1천366억6천300여만원에 비해 16% 가까이 줄었다.
그나마 지난해 담배에 부과된 교육세 575억여원이 지방세목으로 편입되면서 각 시ㆍ군의 형편은 조금 나아졌지만 금연열기로 세수의 감소는 지속될 것으로 보여 각 자치단체들을 안절부절케 하고 있다.
KT&G 전남본부가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각 시ㆍ군에 납부한 담배소비세 가운데 광주는 404억8천만원으로 지난해보다 16% 감소했고, 여수가 106억2천만원, 목포 86억6천만원 등에 그쳐 두자리수이상의 감소폭을 기록했다.
군 단위 자치단체 가운데 지난해 50억8천만원을 거둬들였던 해남은 무려 36.8%가 급감한 33억9천만원에 그쳤다. 지난해 담배소비세 수입이 37억9천만원이었던 진도군만 올해 25억3천만원으로 11% 늘어나 '나홀로' 성장세를 기록했을 뿐 대부분의 시ㆍ군들의 수입이 크게 줄었다.
이에 따라 지방세 수입의 40%가까이 차지하는 일부 군 단위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세수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그나마 지난해 담배에 부과된 교육세가 국세에서 지방세로 전환돼 세수 급감은 면했지만, 최근 금연열기 확산과 금연지역 확대 등의 잇단 조치로 세수 감소는 불 보듯한 실정이어서 대책 마련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한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는 "한때 출향인사 등을 상대로 내 고향 담배 사주기 운동도 벌였지만 최근에는 사회정서와 배치된 데다 유통질서 문란이 우려돼 공개적으로 판촉활동을 할 수도 없는 실정"이라며 고충을 토로했다.
KT&G 전남본부 관계자도 "해마다 연초면 금연을 결심하는 흡연자들이 늘어나고 최근에는 기업이나 정부의 흡연규제가 심해지고 있어 담배 소비 감소에 따른 세수 감소도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담배 한갑에 평균 부과되는 세금(솔 등 저가 및 면세담배 제외)은 모두 929원으로 담배소비세는 2천원짜리 담배 한갑 기준으로 510원, 교육세는 255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