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동차 산업 발전을 위해 세제혜택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산업연구원은 7일 '전기동력 자동차산업의 현황과 과제'라는 연구보고서를 통해 "공공기관 뿐 아니라 민간 기업이 전기동력 자동차 구매를 확대할 수 있도록 업무용 차량으로 전기동력자동차를 구매할 경우 교통유발부담금을 감면하거나 세액공제를 제공하는 방안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세계 각국은 전기차의 초기 시장 창출을 위해서 구매 보조금과 충전하부구조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며 "우리나라의 전기차 보조금 수준은 주요국에 비해 낮지는 않지만 전체 보조금 예산이 상대적으로 적어 보급 속도가 느린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친환경 차종별 지원 체계보다 리터당 주행거리를 환산해 세제혜택과 보조금을 차등 지급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며 "자동차업체간 경쟁을 유발해 전기동력자동차의 성능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중장기적으로 전기동력자동차를 에너지 공급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스마트 그리드 및 에너지저장시스템과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경쟁국들은 자동차, 전력, 배터리, 전자, 스마트 그리드 관련업체들이 대형 컨소시엄을 구성해 '스마트 홈' 프로젝트 등을 추진하고 있다"며 "국내에서도 개방·수평적 구조를 갖춘 유사한 프로젝트를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