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사태를 둘러싼 유럽연합(EU)과 미국의 러시아 경제제재가 장기화될 경우 러시아 경제의 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예상돼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24일 서방국들의 경제제재가 러시아 경제와 우리나라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을 정리한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와 우리 수출에의 영향 전망'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같이 밝혔다.
세계은행은 지난달 26일 이번 우크라이나 사태가 악화될 경우 올해 러시아 경제성장률은 -1.8%, 자본유출은 133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고, 무디스, S&P, 피치 등 3대 신용평가사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경고했다.
이에 따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에 수출을 하고 있는 우리나라 경제에도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국제무역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우크라이나 및 러시아 수출은 올 1분기에 각각 24.8%, 9.6% 감소했다. 러시아 경제의 회복 지연, 루블화 가치 하락에 따른 수입수요 감소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EU 수출은 아직까지 큰 변동이 없으나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EU의 경제회복 지연으로 이어져 우리의 EU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다만 EU와 미국이 현재보다 더 강력한 경제제재를 시행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EU의 러시아 가스 의존도가 높고, 미국·EU 기업과 러시아 기업 간 합작투자 및 협력을 감안하면, 러시아 경제제재가 EU와 미국의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번 제재 대상에서 현재 가스프롬, 로스네프트 등 러시아 경제의 큰 부분을 담당하는 에너지 분야 기업은 제외됐다.
유승진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원은 "지난 17일 4개국 외교부 장관의 제네바 합의로 우크라이나 사태는 고비를 넘겼지만, 우크라이나 동부지역의 독립 움직임이 지속되고 있고, 러시아의 군사조치 여부와 서방국들의 대응이 불확실한 만큼 추가 경제제재 시행 여부와 그에 따른 파급효과를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