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조직에는 2만여 명에 달하는 국세공무원이 어려운 근무여건에도 불구하고 조직의 발전을 위해 일부 희생도 감내하며 맡은 바 업무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때로 조직은 상호의존적 관계에 놓인 직원들로부터 헌신과 충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신세대 직장인들은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조직에 목숨을 걸지 않고 있는 게 현실이다.
예컨대 얼마 전 지난 2009년 前 국세청장을 비판해 해임됐던 관내 일선세무서 직원이 2년이 넘는 긴 법정투쟁 끝에 복직함으로써 다시 한 번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당시 해당 직원은 노무현 前 대통령의 서거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국세청 내부게시판에 전임 국세청장을 비판하고, 국세청의 책임을 묻는 글을 올려 파문을 일으켰다.
이에 광주청은 징계위원회를 열어 그를 해임조치 했으며, 해당 직원은 광주청을 상대로 "해임은 부당하다"며 행정소송을 제기했고, 이후 지난 1일 대법원으로부터 '징계 처분 부당' 결정을 받고 직장으로 복귀했다.
이번 사건은 한 개인만의 문제로 치부하기 전에 조직과 개인이 함께 발전할 수 있기 위해선 유연성을 바탕으로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고, 진정한 소통이 얼마나 중요한지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깊이 들여다보면 한 개인으로서 정부와 조직을 비판하고 사태의 본질을 알리고 싶은 순수한 의도였지만 다소 정제되지 않은 표현과 방법으로 조직에 피해를 입힌 것은 사실이다. 누구나 불만이 있다고 해서 그런 방법으로 표출하면 조직과 개인사이의 온전한 소통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반대로 조직은 개인의 의사표현의 자유를 존중하고 있는 민주국가에서 불만의 의견을 개진하고, 드러내는 것에 관대해야 하지만 그러하지 못했다.
아울러 동반자 관계에 놓인 한 직원의 불만을 지적하고 처벌하기에 앞서 융통성을 발휘해 현명하게 대처했어야 했다. 즉 누구나 인정할 수 있는 조치(?)를 취했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당시 현장에 일하고 있는 직원들의 정서와 세간의 분위기를 누구보다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하는 관리자들이 논란을 일으킨 직원에 대한 파면조치가 당시 사회적으로 몰고 올 파장을 생각했다면 보다 전향적인 자세로 사태를 수습했어야 했다.
개인과 조직은 독립적인 존재가 아니라 상호간 하모니를 이룰 때 발전할 수 있다. 이제라도 개인은 창의성을 발휘해 조직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조직 또한 직원들의 행동이 다소 도가 넘는 부분이 있더라도 큰 틀에서 조직을 아우르는 넓은 포용력을 발휘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