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8.02. (토)

내국세

상위 10% 고소득자, 하위 10% 근소세 격차 767배

나성린 의원, 고소득층 소득세율 인하하되 감면혜택 줄여야

지난해 근로소득세 납부자 중 납세액 상위 10%와 하위 10% 간 1인당 세액 격차가 767배에 달하며 특히 상위 10%의 전체 근로소득세액 부담비용은 해마다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세청이 지난 25일 나성린 의원(한나라당)에게 제출한 2002~2008 근로소득세 신고 분석현황에 따르면 작년 근로소득세 납세 대상자 797만9천명의 과세대상 급여는 1인당 평균 3천823만 원이었고, 납세액은 178만8천 원이었다.

 

특히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과세 대상 급여액을 상위 10%의 1인당 과세대상 급여액은 9천790만 원이고 납세액은 1천150만6천 원인 반면 하위 10%의 1인당 과세대상 급여액은 1천463만2천 원이고 납세액은 1만5천 원이었다.

 

이에 따르면 상위 10%의 급여가 하위 10%보다 급여액은 5.7배 더 많이 받지만 그에 따른 과세액은 766배 더 낸다.

 

더군다나 이들 상위 10%가 차지하는 근로소득세의 비중은 해마다 늘어나 2002년 57.6%, 2003년 56.6%, 2004년 57.8%, 2005년 60.7%, 2006년 63.2%, 2007년 63.2%, 2008년 64.3%로 6년 사이에 6.7% 높아졌다.

 

반면 상하위 10%를 제외한 전체 대상자의 70%는 100만 원 이하 근로소득세를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상위 10%를 제외한 나머지가 전체 근로소득세에서 부담하는 비중은 구간에서 모두 감소했다.

 

이같은 결과와 관련해 나성린 의원은 " 국민소득은 해마다 늘어나는데 비해 고소득자에 대한 과세기준은 거의 상향조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2000년대 들어 최고세율이 40%에서 35%까지 내려왔음에도 불구하고 고소득층의 세부담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것"것으로 지적했다.

 

또한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나 의원은 "소득세율 인하는 실효성 없는 비과세, 감면의 정비, 국민소득의 증가추세 등 다른 요인들과 함께 종합적으로 결정되어야 하며, 지금 우리 경제상황과 조세제도를 모두 고려해보면 고소득층에 대한 소득세율은 인하하되 대신 고소득층에게 주었던 비과세와 감면 혜택은 줄이는 방향으로 세제개편을 할 필요가 있다"고 진담했다.

 

한편 낮은 소득으로 세금을 면제받는 근로자 비중은 2002년 556만1천명에서 2003년 601만6천명, 2004년 643만9천명, 2005년 686만6천명까지 늘었다가 2006년 672만6천명, 2007년 604만2천명으로 줄었고 지난해 610만7천명으로 약간 늘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