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4월 인천지방국세청이 개청 예정인 가운데, 향후 인천청 및 산하세무서의 원활한 인력 수급을 위해선 인접한 서울청과 중부청과의 청간 교류인사가 한층 활발해 질 것으로 전망. 이에 앞서 지난 11일자 6급 이하 직원전보인사에선 개청을 앞둔 인천청 및 산하세무서 근무 인력이 부족한 탓에 향후 인천청 개청 이후라도 다시금 중부청으로 원대복귀가 가능하다는 전제 조건을 달아 중부청 소속 직원 상당수를 전보. 인천청의 인력수급이 이처럼 어려운 데는 무엇보다 인천청 관할지역내 주소지를 두고 있는 직원들이 적은 탓으로, 인천청 및 산하세무서 정원 대비 관할지역내에 주소지를 두고 있는 직원 숫자가 60% 후반에 그치고 있다는 후문. 이는 원거리 출퇴근을 이유로 인천청 근무를 꺼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같은 문제가 지속될 경우 개청 이후라도 원활한 인력수급이 어려울 수밖에 없는 실정. 일선 한 관계자는 "결국 인천청의 성공적인 안착여부가 인력 수급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며, "이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선 인천청 관할 경계지역에 있는 서울청과 중부청 소속 직원들의 청간 교류인사를 더욱 활성화하는 것이 답"이라고 주장.
빈 소 : 서울성모병원장례식장 11호실 발 인 : 2919년 1월 18일(금) 9시 장 지 : 남한강공원묘지
◇…국세청의 11일자 6급 이하 직원 전보인사에서 대기업 현장세무조사를 담당하는 서울지방국세청 조사1국이 대대적인 인사로 분위기 쇄신에 나서 눈길. 서울청 조사1국에는 3課27팀이 있는데 지난해 7월 대비 과장 3명이 모두 새로운 얼굴로 바뀌었고, 현장조사를 실제 집행하고 지휘하는 팀장도 27명 중 17명(63%)을 교체. 게다가 팀장 밑 반장은 2명을 제외하고 25명이(92.6%) 새로운 조사관들로 짜여 졌으며, 6~9급 조사요원들도 무려 80% 가량 교체되는 등 대대적인 전보인사를 단행. 팀장을 비롯해 팀원 전원이 모두 바뀐 조사팀도 전체 27팀 가운데 9팀이나(33.3%) 되는 등 대기업 세무조사 분위기를 전체적으로 새롭게 이끌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듯 하다는 평가. 조사1국의 이번 대대적인 전보인사는 대기업 현장조사 분위기를 더욱 새롭게 다잡고 혹시나 있을지 모를 불미스런 일을 미연에 방지하겠다는 의지도 담긴 것으로 풀이.
[사진2]
[사진2]
□ “거주자”란 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183일 이상 거소를 둔 개인을 말하고, “비거주자” 란 거주자가 아닌 개인을 말함. ○ 거주자 판단기준이 되는 주소와 거소의 개념은 아래와 같음. (주소)국내에서 생계를 같이하는 가족 및 국내에 소재하는 자산의 유무 등 생활관계의 객관적 사실에 따라 판정 (거소)주소지 외의 장소 중 상당기간에 걸쳐 거주하는 장소로서 주소와 같이 밀접한 일반적 생활관계가 형성되지 아니하는 장소 □ 거주자 · 비거주자 구분 기준 1. 거소로 판정 (체류기간 충족 시 : 거주자) 2. 주소로 판정 (체류기간 상관없이 주소 有 : 거주자) ○ 국내에 183일 이상 거소를 둔 경우 - 거소를 둔 기간이 1과세기간 동안 183일 이상*인 경우 * 연속 거주할 필요는 없음 - 거소를 둔 기간은 입국 다음날부터 출국하는 날까지이고 일시적인 출국도 국내 거주기간에 포함 ○ 국내에 주소를 가진 경우로 보는 경우 - 국내에 거주하는 개인이 계속하여 183일 이상 국내에 거주할 것을 통상 필요로 하는 직업을 가진 때 - 국내에 거주하는 개인이 국내에 생계를 같이하는 가족이 있고, 그 직업 및 자산상태에 비추어 계속하여 183일 이상 국내에 거주할 것으로
구 분 소득․세액공제 가능 여부 근거 또는 참고사항 거주자 비거주자 총급여 국외근로소득 포함 국내원천소득 소법§119[국내원천소득]. 7. 근로소득공제 ◯ ◯ 인적 공제 기본공제(본인,배우자,부양가족) ◯ 본인만 가능 소법§122 추가공제(경로우대, 장애인, 부녀자 등) ◯ 본인만 가능 소법§122 연금보험료 공제 ◯ ◯ 특별 소득 공제 국민건강‧고용보험료 ◯ X 주택자금공제 X X 외국인은 '세대주'에 해당하지 않음 그밖의 소득 공제 연금저축 등 공제 ◯ X 소기업․소상공인공제부금공제 ◯ X 주택마련저축공제 X X 외국인은 '세대주'에 해당하지 않음 중소기업창업 투자조합출자공제 ◯ X 신용카드소득공제 ◯ X 고용유지중소기업 근로자 소득공제 ◯ X 장기집합투자증권저축 ◯ X 우리사주조합출연금공제 ◯ ◯ 거주자 제한없이 조합원이면 가능 세액 공제 등 근로소득세액공제 ◯ ◯ 자녀세액공제 ◯ X 특별세액공제(보험료‧의료비‧
빈소 : 강남성모병원 장례식장 14호실(서초구 반포대로 222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02-2258-5940) 발인 : 2019년 1월 16일(수) 오전 7시 장지 : 미정
◇…기해년 새해를 맞아 일선 세정가에는 지난 연말 공직생활을 끝낸 명예퇴직자들의 세무사 개업 인사장이 속속 전달됨에 따라 이를 축하하기 위한 전·현직들의 발걸음이 분주한 상황. 특히 수도권 지역의 경우 지난 연말 다수의 명퇴자가 발생한데다, 현직 재임시 한국세무사회에서 주관하는 세무사교육을 이수한 이들이 늘어남에 따라 1월 중 개업하는 전임 공직자들의 수 또한 증가. 이처럼 개업 러쉬로 달리 불릴 만큼 한날 한시에 개업하는 전임 공직자들이 많다보니, 1월말 부가세 신고로 일손이 딸리는 선배 개업세무사들 뿐만 아니라, 현직 공직자들의 경우도 차마 모든 개업식에 참석할 엄두를 내지 못하는 실정. 실제로 이달 초 전임 공직자 수명이 동일한 날짜에 세무사사무소를 개업한 케이스가 있는데, 선배 세무사를 비롯해 후배 공직자들 또한 부가세 신고와 업무 인수인계 때문에 방문 축하 대신 소정의 감사 표시로 대신하는 일도 부지기수. 시간 뿐만 아니라, 개업 축의금도 은근슬쩍(?) 주머니 사정을 압박한다는 후문으로, 인맥이 두터운 인사의 경우 1월 한 달에만 수 십 곳이 넘는 개업사무소를 찾다 보니 적잖이 부담이 된다는 귀띔. 한편으론, 공직 퇴임자들의 개업사무소를 찾은 내빈(
◇…연말부터 시작된 국세청 1급부터 9급까지 인사가 사실상 모두 마무리된 가운데, 본.지방청 국.과장을 비롯해 일선세무서장 진용이 상당수 새로운 얼굴들로 바뀌어 기해년 새해 새출발의 의미를 더 느끼게 하는 분위기. 특히 지방국세청장 인사에서는 본청에서 오래 근무한 행시36회들이 1.2급 지방청장에 배치돼 교통정리가 이뤄졌으며, 비행시로 분류되는 고공단 세대1기 마지막 주자도 2급 지방청장에 등극. 인사 후 세정가의 관심이 가장 많이 집중되는 1급 네 자리(차장, 서울.중부.부산청장)는 결과적으로 모두 행시 출신이 차지한 것으로 결론이 나 국세청 내 행시 인력 풀의 두터움을 새삼 확인할 수 있었다는 평가. 한편에서는 한승희 국세청장 취임 이후 비행시 간부를 꾸준히 발탁해 본청에 수혈하고 있고, 실제 취임하자마자 균형인사 차원에서 '세대1기 부산청장'을 배출시켰으며 이번 인사에도 세대 출신을 본청 핵심 국장에 발탁. 여기에 더해 세정가는 고공단 인사 때면 '떠오를 비행시'에도 주목하는데, 일반승진 고공단 자원이 없기 때문에 자연스레 세대 출신으로 시선이 옮아가 '지금까지 세대 1기에서 1급이 2명 나왔는데 그럼 다음 주자는 누구냐? 그리고 언제냐?'에 궁금증을
■ 빈 소 : 부산시민장례식장 201호 (부산시 부산진구 자유평화로 31)■ 발 인 : 2019년 1월 11일(금요일)■ 연락처 : 사무실(02-563-3113) 빈소(051-636-4444)
[사진2]
□ 홈택스 및 모바일(홈택스 앱)을 이용한 동의 신청방법 ○국세청 홈택스에서 본인인증수단이 있는 경우에는 공인인증서・휴대폰・신용카드를, 없는 경우에는 온라인․팩스신청방법을 이용하여 동의 신청할 수 있음. (PC) 홈택스 ⇨ [신청/제출] ⇨ 연말정산간소화 ⇨ 자료제공동의 (모바일) 홈택스 앱 ⇨ [신청/제출] ⇨ 연말정산 제공동의 ⇨ 제공동의 신청 [사진2] <온라인(홈택스) 신청 방법> ․(대상자) 본인인증수단이 없거나, 있더라도 주민등록상 가족관계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신청방법) 「제공동의 온라인신청」을 선택하고 동의 신청서와 함께 부양가족의 신분증과 가족관계증명서 등을 첨부하여 온라인으로 제출 ※근로자와 부양가족이 주소가 다른 경우 공인인증서‧휴대전화‧신용카드를 이용한 인터넷 자료제공동의 신청이 곤란하므로, 근로자와 부양가족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가족관계증명서 등)를 첨부하여 온라인・모바일・팩스신청(1544-7020) 또는 세무서 방문 신청
구 분 공제 항목 공적보험료 국민연금보험료, 국민건강보험료(노인장기요양보험료 포함) 보장성보험료 일반보장성보험료(주택임차보증금 반환 보증보험료 포함), 장애인전용보장성보험료 의료비 의료기관에 지출한 의료비 약국에 지출한 의약품(한약 포함) 구입 비용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따라 실제 지출한 본인 일부부담금액* 시력보정용 안경・콘택트렌즈 구입비용* 보청기・장애인보장구・의료용구 구입비용* 등 교육비 초・중・고교, 대학(원) 교육비, 직업능력개발훈련비용 학자금대출 원리금 상환액, 학점인정(독학학위) 교육비* 유치원, 어린이집 교육비* 취학전 아동의 학원・체육시설 교육비* 장애인특수교육비 납입금액* 중・고등학생 교복구입비용* 연금계좌 연금저축, 퇴직연금 납입금액, 개인연금저축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신용카드・직불카드・기명식 선불카드 및 선불식 교통카드 사용금액(대중교통이용분, 전통시장사용분, 도서・공연사용분 포함) 현금영수증 사용금액(대중교통이용분, 전통시장사용분, 도서・공연사용분 포함) 주택자금 주택임차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