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시: 2019년 3월 9일(토) 오후 12시40분 장 소: 광주 라페스타 4층 디아망홀 연락처: 062-351-3400(사무소)
관세청 고공단 인사가 조훈구 인천본부세관장과 윤이근 서울본부세관장의 이달 말 명예퇴임이 확정 됨에 따라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금번 고공단 인사의 경우 김영문 관세청장 부임 이후 가장 대폭적인 고공단 승진·전보인사가 단행될 전망. 이번 인사에서 가장 주목을 끄는 대목은 관세청 차장 직위를 제외한 유일한 가급 고공단 직위인 인천본부세관장에 누가 승진·임명되는지와 함께, 2명의 고공단 명예퇴직에 따라 고공단 승진자에 대한 궁금증도 증폭. 관세청내 유일한 1급지 본부세관을 관할하는 인천본부세관장의 경우 1급지 승급 이후 일반과 행시, 다시금 세대출신 고공단이 임명된 점을 들어 이번에는 행시출신 고공단의 임명이 유력한 것으로 세관가는 전망. 이와 관련, 현재 관세청내 행시 기수별 고공단은 36회 2명, 37명 7명, 38회·39회·40회·42회 등에서 각각 1명씩을 배출하는 등 행시 37회 출신 고공단이 압도적으로 많은 실정. 세관가에서는 후임 인천본부세관장에 본청내 국장이 임명될 것을 예측 중으로, L국장과 K국장 가운데 한 명이 유력한 것으로 관측. 행시 기수로는 K국장이 L국장에 비해 한 기수 선배인 반면, L국장의 경우 K국장보다 고공단 승진이 2년 가량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국무회의에서 '적극행정 면책' '소극행정 문책'을 강조한 것과 관련, 세정가에서는 행정집행의 기준을 '세법'에 두고 있는 국세청의 경우는 아무래도 적극행정에 소극적일 수 있는 면이 없지 않다고 인정하면서도 적극행정에 따른 납세자의 정책신뢰도가 오히려 더 높아지는 긍정적인 면이 더 클 것이라고 기대. 개업 3년차 한 세무사는 "대통령께서 말씀하신 '적극행정'을 국민들은 '합리적 재량' 수준으로 받아들이는 것 같다"면서 "철저하게 세법에 따라 행정을 집행하는 국세공무원이 자신의 재량에 따라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신이 맡은 분야에 대한 전문성이 우선돼야 한다"고 지적. 실제 국세청 내부적으로도 직원 전문성 확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일례로 김현준 서울청장은 최근 관서장회의에서 "세정에 대해 높아진 국민의 기대수준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직원의 전문성 제고가 중요하다"고 강조. 특히 세정가에서는 최근 국민권익위의 청렴도 평가 때 국세청이 세정관련 전문가와 세무대리업계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고객 평가'에서 지난해보다 더 나쁜 점수를 받아든 데에는 일선 행정현장에서의 소극적인 행정이 한 몫 했을 것이라는 비판이 비등.
삼정KPMG(회장.김교태)는 지난 13일 삼성동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업계 최대 규모인 기업 담당자 800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9년도 개정세법 설명회'를 개최했다.[사진2] 올해부터 시행되는 개정세법에는 연결법인 이월결손금 공제한도 축소, 투자.상생협력촉진세제 개선, 증여재산 시가 평가기간 확대, 신성장기술 R&D비용 세액공제 요건완화, 부가가치세 가산세 부담 경감, 관세 과세가격 결정방법 제도 개선 등 기업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할 개정 내용이 포함됐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삼정KPMG의 조세전문가들이 발표자로 나서 법인세법, 국세기본법, 조세특례제한법, 부가가치세법, 소득세법, 상속세 및 증여세법, 국제조세 조정에 관한 법률, 관세 등을 총 5개 세션으로 나눠 각 세목별 주요 개정내용을 개정배경과 입법취지와 함께 전했다. 특히 이번 개정세법에 따라 올 1월부터 지급받는 수입배당금부터는 지주회사의 수입배당금에 대한 익금불산입률이 차등화 되고, 연결법인의 이월결손금 공제한도도 80%에서 60%로 축소된다. 또 합병 분할차익 자본전입시 의제배당금액의 산정방법이 개선되고, 해외금융계좌 신고의무 위반금액의 출처에 대한 소명 의무가 개인에서 법인까지 확대되
※ 보유세 = 재산세(지교세 포함) + 종부세(농특세 포함)건강보험료는 지역가입자의 경우로 가정(법인재산, 직장가입자 등의 경우 공시가격 변동에 따른 건강보험료 변화는 없음) □ 상업용 구분 용산구 이태원 △△△ 종로구 화동△△△ 관악구 봉천동 △△△ 공시지가 (천원/㎡) ’18 7,500 7,980 3,960 ’19 8,120 8,860 4,410 면적(㎡) 60.0 99.2 134.5 공시지가 (천원) ’18 450,000 791,616 532,620 ’19 487,200 878,912 593,145 변동률(%) 8.3 11.0 11.4 보유세 (천원) ’18 894 1,755 2,237 ’19 988 1,975 2,491 증액 (변동률(%)) 94 (10.5) 220 (12.5) 154 (13.8) 건강보험료 (천원, %) ‘18 320 540 346 ‘19 320 548 351 증액 (변동률(%)) 0 8 (1.5) 5 (1.4) 비고 종합소득연 2,887만원 종합소득연 6,899만원,승용차 2,400cc 1대 종합소득연 3,789만원 구분 소재지 대구 중구 △△△ 강원 속초시 △△△ 광주 동구 △△△ 공시지가 (천원/㎡) ’18 4,100 2,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