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승래 의원, 기재위 종합 국정감사에서 강조
2025 프로야구 한국시리즈의 흥행 돌풍 속 암표 거래로 일반관람객이 피해를 보고 있는 가운데, 대표적인 온라인 티켓 재판매 사이트 티켓베이 임원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했다.
조승래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지난 29일 기재위 국정감사에서 티켓베이를 운영하는 ㈜팀플러스 권범순 이사를 증인으로 불러, 온라인 암표 거래 문제와 플랫폼의 부작위 책임을 질타했다.
이날 조 의원은 대전경찰청이 적발한 매크로 예매 검거 영상을 제시하며, “피의자가 4개월간 야구 티켓 1만장을 예매해 5억7천만원을 챙겼다. 이는 명백한 범죄임에도 티켓베이는 수년간 개인간 거래라며 책임을 회피해 왔다”라고 지적했다.
조 의원이 공개한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티켓베이 거래 건수 기준 상위 1% 판매자(441명)는 연간 총 12만건을 거래하며 전체 거래 건수의 41%를 차지했다, 금액으로는 298억원으로 1인당 평균 6천700만원을 번 셈이다.
조승래 의원은 “이 정도면 명백히 상습·영업적 거래에 해당한다”라며, “티켓베이는 거래가와 빈도를 포함한 매출 기록을 모두 보유하고 있음에도 현행법상 부정판매를 장기간 방치해 왔다”라고 지적했다.
조 의원은 지난 16일 국세청 국정감사에서 프로야구 티켓 예매 시작과 동시에 티켓베이에서 암표 판매가 시작되는 점, 인당 구매 가능 분을 초과한 수량이 재판매되는 화면을 제시하며, 티켓베이가 단순한 티켓 양도 공간이 아닌 투기 조장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조 의원은 “티켓베이는 거래 금액의 10%를 수수료로 가져가는데, 정가보다 비싸게 판매될수록 플랫폼의 수익도 커지는 구조”라며, “암표 거래를 방조하면서 취한 이익은 범죄수익이 아니냐”라고 꼬집었다.
또한 한국야구위원회와 한화이글스로부터 받은 공문을 제시하며 “KBO와 한화이글스 모두 온라인 암표 거래가 일반 관람객의 권리를 침해하고 있다며 강력한 처벌 규정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날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한 권범순 이사는 “문제 제기된 부분에 대해서는 충분히 공감·인식하고 있다”라며, “향후 관련 부처와의 협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개선될 수 있도록 책임감 있게 임하겠다”라고 입장을 밝혔다.
조 의원은 “상습·영업적 판매 행위자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는 곳은 티켓베이와 국세청뿐이나 정작 문화체육관광부나 경찰에 공유되지 않고 있다”라며 “상위 1% 거래자 400여명에 대해서는 범죄 혐의자로 보고 경찰이 인지수사에 착수할 수 있도록 국세청이 자료 공유에 적극 협조해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