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행정 현장 맞춤형 기술개발 2.0 사업' 착수보고회
2028년까지 4년간 190억원 투입…4개 연구과제 수행
X-레이 영상데이터 표준화·동시 다종 마약 신속검사 키트 등

관세청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28년까지 인공지능으로 컨테이너 구조를 탐지해 은닉물품을 적발하는 기술과 비접촉 방식으로 마약류 탐지를 위한 후각지능 기술·시스템 개발에 착수했다. 다종 마약 신속검사 키트, X-레이 영상데이터 활용을 위한 표준화 기술 개발에도 나선다.
관세청과 과기정통부는 26일 배재대학교에서 한국연구재단, 사업단 및 연구단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관세행정 현장 맞춤형 기술개발 2.0 사업’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사업은 △AI 관세행정 구현 △국민건강 보호 △사회안전 확보를 목표로 올해 9월부터 2028년까지 총 190억원을 투입해 4개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신규 연구개발(R&D) 사업이다. 앞서 양 부처는 2021년부터 2024년까지 312억원 규모 ‘관세행정 현장 맞춤형 기술개발 1.0 사업’을 공동 추진해 7개 연구과제를 수행했다.
4개 연구과제는 △컨테이너 구조공간 은닉물품 적발 기술 개발 △동시 다종 마약 신속검사 키트 △X-레이 영상데이터 활용을 위한 표준화 기술 개발 △불법 마약류 탐지를 위한 후각지능 기술·시스템 구축이다.
우선 컨테이너 구조 부분을 집중 탐지할 수 있는 인공지능 은닉물품 적발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84억원을 투입한다. 연구기관은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으로, 컨테이너 구조공간 특징 분석·데이터셋 구축, 컨테이너 구조기반 은닉물품 탐지 알고리즘 개발 등에 나선다.
또한 2027년까지 32억5천만원을 들여 인체 접촉 위험 없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다종 마약을 판별할 수 있는 휴대용 검사키트를 개발한다. 경찰대학 산학협력단이 △현장 마약 검사 시나리오 설계 △마약 고체 시료 채취용도구 개발 △올인원 다종 마약 신속 검사 키트 개발 등을 추진한다.
다양한 X-ray 검색 장비에서 생성되는 이종 영상 데이터의 표준화 기술 개발에는 33억6천만원이 배정됐다. 연구기관은 한국과학기술원이다.
마지막으로 비접촉 방식으로 6종 이상 마약류 탐지 가능한 후각지능 시스템 구축에 33억6천만원을 책정했다. 한국화학연구원이 △마약 탐지 가능 후각지능 센서 기술개발 및 고도화 △마약류 후각 패턴 데이터베이스 구축 △인공지능 기반 마약류 판별 알고리즘 고도화 등에 나선다.
연구단 공모에는 총 24개 컨소시엄이 지원해 평균 경쟁률 6대 1을 기록했다. 최종 선정된 4개 연구단은 세관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 실증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추진체계는 △중요사항을 심의하는 사업추진위원회 △연구단 선정·관리를 총괄하는 사업단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연구단(커스텀즈랩) △사업을 지원하는 사업자문단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세관 직원과 전문가가 연구개발 전 주기에 참여해 현장의 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맞춤형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이명구 관세청장은 착수보고회에서 “이번 2.0 사업은 높은 경쟁률을 통해 검증된 연구단과 함께 하는 만큼, 관세행정의 인공지능 혁신을 앞당기고, 첨단기술의 도약과 연구단·참여기업의 진짜 성장을 지원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관세청은 연구성과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하고 신뢰받는 무역환경으로 이어지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정택렬 과기정통부 공공융합연구정책관은 “과학기술 발전에 발 맞춰 공공행정 분야도 첨단기술 기반으로 서비스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며 “과학기술과 행정현장간 연계와 협업을 통해 첨단기술 성과가 국민 생활과 안전에 직접 기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개발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