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5.04. (일)

내국세

직장인 상여금 상위 0.1%, 年 7억…하위 20%는 37만원

전체 상여금 상위 10% 비중, 2022년 기준 52%…쏠림현상 심화

 

상여금을 많이 받는 상위 0.1% 근로자들을 분석한 결과, 1년간 받은 보너스가 7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체 상여금 중 절반 이상이 상위 10%에게 몰려 '쏠림 현상'이 심화됐다. 상여금은 임금 외에 특별히 지급되는 현금급여로, 흔히 보너스라고 한다.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이 2일 국세청에서 받은 상여금 천분위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상여금을 받은 근로자는 979만9천285명이었다.

 

이 가운데 상여금 수령액 상위 0.1% 근로자들이 한해 받은 평균 상여금은 6억8천526만원으로, 상여금 중위값(434만원) 대비 157.9배에 달했다.

 

상여금 수령액대로 근로자를 나열했을 때, 상위 0.1% 근로자가 중간에 있는 사람이 받는 금액의 157.9배를 받았다는 의미다.

 

최상위권의 상여금은 빠른 속도로 증가해 중간과의 격차가 벌어지는 추세다.

 

상위 0.1%의 평균 상여금은 2020년 5억4천885만원, 2021년 6억6천606만원, 2022년 6억8천526만원으로 증가했다. 2년새 24.9% 증가한 것이다.

 

같은 기간 중위값은 405만원, 432만원, 434만원으로 늘어, 증가율은 7.1%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중위값 대비 상위 0.1%가 차지하는 비율은 2020년 135.5배, 2021년 153.9배, 2022년 157.9배로 커졌다.

 

상위 1%와 상위 10%로 범위를 넓혀보면, 2022년 기준 상위 1% 평균 상여금은 1억7천118만원으로 중위값의 39.4배, 상위 10% 평균 상여금은 5천785만원으로 중위값의 13.3배였다.

 

상위권 상여금 비중 ‘쏠림 현상’도 점차 심화하고 있다.

 

전체 상여금 가운데 상위 0.1%가 받은 상여금 비중은 2020년 5.8%에서 2022년 6.2%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상위 1% 비중도 14.6%에서 15.4%로, 상위 10% 비중도 48.6%에서 52.0%로 증가했다. 전체 상여금 중 절반 이상이 상위 10%에 쏠린 것이다.

 

상·하위 20%의 상여금 격차도 계속해서 확대되는 추세다. 2022년 상위 20% 상여금을 하위 20% 상여금으로 나눈 5분위 배율은 105.6배였다. 상위 20%는 평균 3천927만원을 받을 때 하위 20%는 37만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93.1배, 2021년 101.8배였다.

 

양경숙 의원은 “경기불황으로 경영실적이 좋지 않은 기업들은 보너스를 지급하지 못하는 실정일 것”이라며 “근로소득자간 임금과 마찬가지로 보너스에서 양극화 현상이 확연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