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5.23. (금)

관세

권익위 "세관장, 통장예금 20여만원 추심은 부당"

관세를 체납했다는 이유로 통장 예금 20여만원을 추심한 것은 부당하다는 국민권익위 결정이 나왔다.

 

국민권익위원회는 관세를 체납했다는 이유로 예금잔액 20여만원에 대해 추심하고 압류를 해제하지 않아 소멸시효를 중단한 것은 부당하므로 관세 체납액을 소멸하도록 과세관청에 시정권고했다고 지난 11일 밝혔다.

 

세법상 국세징수권 소멸시효는 통상 5년이 지나면 납부의무가 소멸하지만 압류하는 경우 시효 진행이 중단되고 압류해제 후 해제일의 다음 날로부터 소멸시효 5년이 새롭게 다시 진행된다.

 

A세관장은 2004년 B씨에게 관세 2억여원을 부과했고 관세를 체납하자 2008년 B씨의 예금계좌를 압류했다. 압류 당시 예금잔액 20여만원을 추심하고 추가 추심 없이 지난해 4월 압류를 해제했다.

 

B씨는 A세관장이 압류한 예금계좌는 압류금지재산에 해당해 무효이므로 관세 체납액에 대해 소멸시효를 완성해 달라고 국민권익위에 고충민원을 신청했다.

 

국민권익위는 2008년 2월22일 시행된 국세징수법 시행령 제36조에서 120만원 미만인 예금은 압류금지재산으로 규정하고 있었음에도, A세관장이 2008년경 압류금지재산인 예금계좌를 압류하고 20여만원을 추심한 것은 당연무효에 해당한다고 봤다.

 

또 2008년경 추심 이후 사업관련 대금이 입금된 사실이 없음에도 2021년까지 압류를 지속한 점, 압류한 예금계좌 외에 다른 재산을 압류한 사실이 없는 점 등을 고려해 B씨의 관세 체납액에 대해 소멸시효를 완성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