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FOMC결과 국내 금융시장 영향 제한적"
정부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가 국제금융시장의 예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며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16일 서울은행회관에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하고, 미 FOMC 결과와 관련해 모두발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미 연준은 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0~0.25%)하고 인플레 인식에 변화를 보이며 테이퍼링 속도를 높이기로 결정했다. 또 내년 1월부터 자산매입 축소 규모를 매월 150억불에서 300억불로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테이퍼링 종료 시점은 당초 내년 6월에서 3월로 앞당겨질 전망이다.
이 차관은 “미 연준의 테이퍼링 및 금리인상과 관련한 예측이 상당부분 시장에 이미 반영됐고,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 신흥국들이 선제적으로 금리 인상을 단행한 점 등이 충격을 완화할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글로벌 인플레이션, 오미크론 변이 등 리스크 요인들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경제여건과 통화정책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중국 헝다그룹의 디폴트와 같은 국지적 이벤트들이 맞물릴 경우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이 차관은 “정부는 앞으로도 미 연준을 비롯한 주요 통화당국의 동향, 글로벌 경제와 변이 바이러스의 전개 등을 면밀히 주시하면서 필요시에는 이미 마련된 컨틴전시 플랜에 따라 시장안정 조치들을 선제적이고 신속하게 가동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서민 물가 안정에도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이 차관은 “최근 국제유가 하락 및 유류세 인하효과가 국내 석유류 가격에 신속히 반영될 수 있도록 민관합동 점검체계를 지속 가동하면서 옥수수, 설탕 등 가격급등 원재료에 대한 할당관세 등 세제지원, 면세 농산물에 대한 의제매입세액공제 특례기한 연장 등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예년보다 3주 빠르게 설 명절 물가대응체계를 가동해 16대 성수품과 쌀을 포함한 17대 품목을 중점관리품목으로 지정하고 평시 대비 공급을 확대하는 등 가격안정 노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