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차 추경으로 마련한 상생국민지원금, 상생소비지원금 등 피해지원 3종 패키지 예산을 90% 이상 집행했다고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14일 안도걸 제2차관 주재로 ‘제14차 재정관리점검회의’를 열어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금년도 예산 집행실적을 점검하고 연말까지 마무리 집행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1차 추경의 버팀목플러스 등 5개 현금지원 사업(5조5천억원)은 8월말까지 377만명에게 5조3천억원을 지급해 사업이 완료됐다.
5개 사업은 버팀목플러스(291만명, 4조8천억원), 긴급고용안정지원금(72만명, 4천억원), 법인택시기사(7만8천명, 548억원), 방문·돌봄종사자(3만4천명, 168억원), 전세버스기사(3만명, 207억원) 관련 사업이다.
2차 추경으로 마련한 상생국민지원금, 상생소비지원금 등 피해지원 3종 패키지 예산 16조3천억원은 이달 8일까지 4천832만명에게 14조7천억원(90.2%)을 지원했다.
상생국민지원금 8조6천억원은 지난 9월7일부터 10월29일까지 신청을 받아 4천303만명에게 8조5천억원을 지급해 사업이 종료됐다.
상생소비지원금은 10월 카드사용에 대한 지원금 3천875억원을 11월15일에 지급했고, 11월분에 대한 지원금은 3천900억원 내외로 잠정 집계돼 회계검사 등 최종 점검 후 12월15일 지급 예정이다.
소상공인 희망회복자금은 당초 계획한 178만명보다 11만명 증가한 189만명에게 4조2천억원을 지급했으며, 연말까지 이의신청을 검토해 추가 지급 중이다.
손실보상금 2조4천억원은 10월27일 지급을 시작해 이달 8일까지 소상공인 58만명에게 1조7천억원을 지급했으며, 손실보상 심의위 등을 통해 매주 지급대상을 확정해 지급하고 있다.
정부는 연말까지 금년 가용재원을 총동원해 경기 하방 위험에 대응하고 경기회복세를 뒷받침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