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5.23. (금)

관세

부산세관, 전략물자 수출 허가제도 온라인 전문교육

“전략물자는 요건이나 위반시 처벌도 강해서 평소 문의할 데도 마땅치 않았는데, 이번 교육을 통해 전략물자에 대한 이해와 접근이 다소 쉬워졌다.” “내년에 수출품목을 확대하려 하는데 수출품목이 전략물자 해당여부 확인이나 수출허가 절차 등에 대해 실무자 입장에서 많은 도움이 됐다.” 

 

부산본부세관은 16일 국가정보원 부산지부·전략물자관리원 등 관련기관과 협업해 관세행정 내·외부 수요자를 대상으로 전략물자 수출 허가제도 등에 대한 온라인 전문교육을 실시했다.

 

 

온라인(zoom 앱 방식)으로 실시된 이번 수출 전략물자 교육은 전략물자의 일반적인 개념(이중용도 등), 국제수출통제체제와 통제품목, 국내 수출통제제도와 관리제도, 세관 적발사례 순으로 세관과 전략물자관리원이 공동으로 진행했다.

 

특히 전략물자 관리제도에 화주 등 외부수요자의 관심이 집중됐다. 부산세관은 수출자가 수출물품이 전략물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2가지 방법(자가판정, 전문판정)을 소개했다. 전략물자관리원 온라인 자가판정시스템(www.yestrade.go.kr) 이용방법 및 온라인 전문판정 신청방법 등이다.

 

이와 관련, 판정 후 전략물자 해당 또는 해당하지 않은 경우에 따라 허가 불필요, 상황허가, 수출거래보고, 개별(포괄)수출허가 등 수출자의 사후조치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안내했다.

 

국정원(부산지부)는 수출 전략물자에 대한 세관과 협업을 강조하는 한편, 전략물자 불법수출 차단을 위한 전방위적 시스템 구축 등 국정원의 역할과 활동에 대해 설명했다.

 

또한 '포탄제조기술 및 장비 불법 수출사건' 등 평소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국정원의 활동사례에 대해 제조시설·물품 등의 현장 사진과 구체적인 설명을 통해 정부기관의 전략물자 관리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아울러 평소 접하기 어려운 전략물자 분야의 특수성을 감안해 질의·응답 시간을 별도로 마련했다.

 

부산세관은 “이번 수출 전략물자 전문교육을 통해 화주·관세사 등 내외부 수요자에게 전략물자 제도에 대한 지식과 이해의 폭을 넓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향후 국민건강·사회안전 위해물품의 반입 차단을 위해 범정부간 협업분야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국민들과 쌍방향 소통을 위해 수요조사를 통해 필요시 폐기물, 어린이제품 등 분야(9개)도 순차적으로 온라인 교육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