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자치부의 지방재정 정보 공개 확대 기조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행정자치부는 지방재정 공개 국민 자문단 회의를 통해 '2017년 지방재정 공개제도 운영계획'과 '지방재정 365'의 개선방안을 논의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방재정 공개 국민 자문단은 내세금국민감시단, 행정자치부 출입기자, 지방재정 전문가, 자치단체 예산 담당과장 등으로 구성된 자문기구로, 행자부의 지방재정 공개 정책 변경이나 개선 시 자문단의 의견을 수렴하고 반영하는 절차가 이뤄져 왔다.
이날 행자부는 2016년 지방재정 공개 주요추진 성과로 '지방재정365' 시스템 서비스 개시와 각종 재정지표 공개 확대를 들었다.
'지방재정365' 시스템은 410개 지방공기업과 626개 지방출자·출연기관, 17개 교육청의 재정통계 정보를 통합한 공개 사이트로, 표 위주로 공개되던 지방재정 정보를 도표, 지도, 그래프를 최대한 활용해 알기쉽도록 시각화된 시스템이다.
행자부는 '지방재정365'에 공개된 모든 자료를 실시간 데이터(open API)형태로 개방해 국민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지자체의 재무제표와 대규모 투자사업에 대한 공정률, 재정분석지표의 세부내용 등의 공개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검색기능 강화, 맞춤형 검색 서비스 구현, 주요 재정 테마별 분석방법 다각화 등의 개선방안들에 대해 내부 검토를 거쳐 개선 필요사항에 대해서는 곧바로 개선 절차에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행자부 이상길 지방재정정책관은 "그동안 지방재정 정보 공개 확대와 '지방재정365'를 통한 통합 공개서비스 제공 등 많은 성과가 있었다"면서 "앞으로도 지방재정 공개 국민 자문단 등 다양한 분야의 의견을 수렴해 정책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