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5.24. (토)

뉴스

무분별한 학술연구용역 수의계약 차단…사전검증 강화

행자부, 지방계약 예규 개정안 공포

앞으로 지방자치단체의 학술연구용역 수의계약이 더욱 꼼꼼해지고, 협상 후 계약을 체결할 때 평가점수 공개방식이 확대되는 등 지자체의 계약이 더욱 투명해질 전망이다.
 
행정자치부는 16일 학술연구 용역계약의 무분별한 수의계약을 막고 협상에 의한 계약의 평가점수 공개방식을 개선하는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하는 '지방계약 예규 개정안'을 공포한다고 15일 밝혔다.
 
지금까지는 특정인과의 학술연구용역에 대한 수의계약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해당 자치단체 계약심의위원회에서 심의하도록 했지만, 경쟁이 가능한 학술연구용역도 수의계약을 체결하는 사례가 발생해왔다.
 
이에 제도개선을 통해 위원회 심의를 폐지하고 계약부서에서 수의계약 여부를 판단하도록 개선해, 학술연구용역의 무분별한 수의계약을 방지토록 했다.
 
또 제안서를 평가해 계약상대자를 선정하는 '협상에 의한 계약'의 제안서 평가시, 평가위원의 업체별 평가점수를 합산해 공개해 왔으나, 평가결과를 좀 더 구체적으로 공개해 달라는 요청이 제기돼 왔다.
 
행자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평가위원의 업체별 평가점수 공개방식을 개선함으로써 평가위원 뿐 아니라 평가항목별 점수까지 공개해 협상에 의한 계약이 투명하게 이뤄지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납품검사 시 제출된 시험성적서 등의 위·변조 여부 등을 관련기관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해 공공조달물자의 검사를 강화하고, 검사가 필요한 경우 전문기관에 납품검사를 의뢰해 안전과 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했다.
 
김현기 행정자치부 지방재정세제실장은 "이번 지방계약제도 개선으로 무분별한 수의계약을 막고, 평가점수 공개방식을 확대함으로써 지방계약의 투명성을 강화해 지방계약의 공정성과 품질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