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5.25. (일)

경제/기업

임종룡 "한진해운 '추가 지원' 없다·…정상화 실패 땐 법정관리"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10일 한진해운에 대한 추가 지원은 없으며, 정상화 방안에 실패한다면 원칙에 따라 법정관리가 불가피하다고 재확인했다.

임 위원장은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해운업종은 용선주, 사채권자, 채권단 등 이해관계자가 모여 손실 분담 원칙 아래 정상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이같이 밝혔다.

그는 현대상선의 경우 용선료 조정(20%), 사채권자 채무조정, 채권단 출자전환 등 3가지 채무재조정에 성공해 CEO 교체 등 지배구조 개편과 선대 합리화, 장기운송계약 체결, 해외 터미널 확보 등 영업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한진해운에 대해서는 이러한 3가지 채무재조정 외에 추가로 선박금융 협상을 추진 중이지만 추가 지원은 없다고 강조했다.

임 위원장은 대기업 정기 신용위험 평가에서 대우조선해양을 정상기업으로 분류한 것에 대해 "채권단 주도로 강도 높은 구조조정(정상화)을 이미 추진하고 있어서 부실 징후기업으로 분류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그는 "조선업은 경기민감업종으로 대우조선해양은 '트랙 1(경기민감업종)'에 따라 채권단 주도로 구조조정을 추진 중이다"고 말했다.

그는 "신용위험평가에서는 정상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는 점 등을 감안해 부실징후기업(C, D등급)으로 분류하지 않았다"며 "대우조선을 신용위험평가 C등급(워크아웃), D등급(법정관리)으로 분류할 경우 현재 채권단이 추진하고 있는 경영정상화 방향에도 맞지 않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업황 부진에 대비해 대우조선은 물론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대형 3사가 10조3000억원의 전례 없는 대규모 자구계획을 이행하고 있다"면서 "조선업 전반의 구조개혁 방향을 진단하기 위한 외부 컨설팅 결과도 8월 말 나온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