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올해 초 비밀리에 이란으로 현금 4억 달러(약 4472억원)를 항공편으로 실어 날랐으며, 이는 이란에 간첩혐의로 수감돼 있다가 지난 1월 석방된 미국인 4명의 몸값이라는 의혹이 제기됐다.
지난 1월 이런 의혹을 제기했던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일(현지시간) 미국 및 유럽의 관리들과 의회 관계자 등을 인용해 거듭 미국과 이란 간 미국인 몸값을 둘러싼 뒷거래 의혹을 제기했다. WSJ은 이날 "미국 정부가 아무런 표식도 없는 화물기를 이용해 유로와 스위스 프랑 등 4억 달러 어치 외화를 담은 나무상자를 이란으로 실어 날랐다"면서 "네덜란드와 스위스의 중앙은행을 통해 이 돈을 조달했으며, 이는 미국이 지난 1월 이란과 상환키로 합의한 17억 달러(약 1조 9006억원)의 첫 분납금인 것으로 보인다"라고 보도했다.
17억 달러는 1979년 이란이 미국으로부터 무기를 구입하기 위해 지불했던 4억 달러에 지금까지의 이자를 합친 금액이다. 당시 미국은 이란으로부터 무기 대금을 받았지 이란에 반미정권이 들어서면서 무기를 인도하지 않았다.
미국정부는 지난 1월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 해제 후 그동안 동결해온 이란 자금을 상환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었다. 이 발표는 이란에 수감돼 있던 워싱턴포스트(WP) 테헤란 특파원 제이슨 리자이안 등 미국인 5명과 미국에 억류된 이란인 7명을 맞교환하기로 했다는 발표와 거의 비슷한 시점에 나왔다.
WSJ는 당시 17억 달러 상환과 미국인 석방이 밀접히 연결돼 있다고 보도했었다. 이란 언론도 자국 국방부 관리의 말을 인용해 현금이 이들의 몸값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미국 공화당 의원들이 의혹에 대한 조사를 요구하기도 했다. 그러나 미국 백악관과 국무부는 석방에 대한 보상금이라는 의혹을 부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