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찰청 부패범죄특별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이 강만수(71) 전 산업은행장 수사를 위해 2일 압수수색을 벌인 관련 업체 2곳의 경영진 중 기자 출신 인사와 종친회 친척 등이 포함돼 있어 주목된다.
검찰에 따르면 이날 특별수사단이 압수수색을 벌인 곳은 10곳 이내로 파악된다. 강 전 행장의 집과 그가 대표로 있는 투자자문사 사무실, 관련 업체 2곳과 이 회사 경영진 주거지 등이다.
주목되는 곳은 관련 업체 2곳이다. 한 곳은 전남 지역에 있는 바이오업체 B사이고, 다른 곳은 대구에 사무실을 둔 중소건설업체 W사다.
이들 업체 두 곳은 강 전 행장 재임시절 업무와 관련 있고 대우조선해양과도 일정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는 게 검찰 설명이다. 이들 비상장업체에 일감 몰아주기 등 특혜가 있었던 게 아니냐는 의혹을 검찰은 갖고 있다.
이 중 B사 대표 김모씨는 강 전 행장이 2008년 이명박정부 초대 기획재정부 장관을 하던 시절부터 인연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당시 김모씨는 유력 경제지 기자였고, 강 전 행장과 여러차례 인터뷰를 한 기록이 나온다. 김씨는 2010년 언론사를 나와 B사 대표를 맡았다.
김씨가 대표를 맡았던 B사는 2009년 1월 자본금 5000만원으로 세워진 회사로 설립 직후인 같은 해 6월 벤처기업으로 지정됐다. 이 업체는 관련 사업 분야에서 독보적 위치를 차지해 장외 주식시장에서 '대박'으로 평가를 받기도 했다.
특히 설립 1년도 안된 2009년 12월 총 사업비 150억원 규모의 지식경제부 R&D과제 업체로 선정되기도 했다.
김씨가 대표를 맡은 이후인 2011년 9월엔 사업비가 8억원 규모인 농림수산식품부 기술개발 과제 업체로 선정되기도 했다. 또 회사 자본금을 37억4000만원으로 늘리는 등 회사 규모도 커졌다.
B사는 강 전 행장이 산업은행을 맡은 직후인 2011년 대우조선해양으로부터 5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하기도 했다.
특별수사단 수사선상에 오른 건설업체 W사 역시 강 전 행정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W사의 대표인 강모씨는 강 전 행장과 본관이 같아 종친회 명부에도 이름이 오른 친척으로 파악됐다.
특히 W사는 강 전 행장이 산업은행을 맡은 2011년 이후 승승장구했는데, 30억원 규모이던 매출이 80억원대로 수직상승했다. W사의 매출은 대부분 대우조선해양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법조계 관계자는 "강 전 행장 수사는 개인 비리 수사이면서 대우조선해양 경영 비리의 성격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양 부실을 장기간 방치한 원인부터 규명하자는 게 이번 수사의 기본 전제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