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5.24. (토)

기타

7월 소비자물가상승률 0.7%…석 달 연속 0%대

저유가에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세 달 째 0%대에 머물고 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0.7% 상승했다.

3월과 4월 1.0%를 유지하던 소비자물가는 5월과 6월 각각 0.8%를 나타내다가 7월 0.7%로 떨어졌다. 지난해 9월 0.6%를 기록한 이후 10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저유가의 여파로 교통비와 에너지 가격이 하락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석유류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8.9%나 떨어지며 전체 물가를 밑으로 끌어내리는 데 가장 큰 기여(-0.38%포인트)를 했다.

품목성질별로 보면 상품은 전년 동월 대비 0.7% 하락했다. 농축수산물이 1년 전보다 0.2% 상승했고 공업제품과 전기·수도·가스가 각각 0.5%, 3.9%씩 하락했다.

상추(47.6%), 게(44.3%), 열무(39.1%), 마늘(32.1%) 등 일부 품목이 높은 상승세를 보이긴 했지만 한동안 비싼 가격을 유지하던 무(-23.5%)와 양파(-19.8%) 등은 전년 대비 낮은 가격을 나타내고 있다.

집세(2.5%), 공공서비스(1.0%), 개인서비스(2.1%)가 모두 오름세를 나타내면서 서비스는 1.9% 상승했다.

전세가는 전년 대비 3.6%, 월세는 0.3%씩 각각 올랐다. 하수도료(18.0%)가 대폭 상승하면서 공공서비스의 상승세를 이끌었고 소주(외식, 13.2%), 생선회(외식, 4.9%), 공동주택관리비(3.4%) 등이 올라 개인서비스도 상승했다.

지출목적별로는 음식·숙박(2.4%), 교육(1.6%), 의류·신발(1.6%), 가정용품·가사서비스(2.1%), 보건(1.1%), 오락·문화(1.4%) 등이 상승했다.

기름값이 낮아지면서 교통(-3.0%)이 큰 폭으로 하락했고 식료품·비주류음료(-0.1%)도 소폭 내렸다.

체감물가를 설명하기 위해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 비중이 높은 142개 품목을 대상으로 한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과 비교해 변동이 없었다.

신선식품지수는 0.4% 하락했다. 신선채소와 신선과실이 각각 4.6%, 4.3% 하락한 영향이 컸다.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6% 올랐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