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9일 "각국 경제가 지금처럼 다면적인 어려움에 처한 상황에서는 통화정책만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서울 플라자호텔 메이플룸에서 한은과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피터슨연구소(PIIE) 등이 공동 주최한 '소규모 개방경제의 통화정책 운영' 콘퍼런스에 참석해 "거시건전성 정책, 구조개혁 정책 등과의 효율적인 정책조합과 국제공조가 중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한국과 같은 소규모 개방경제 국가들의 정책 방향과 관련해 "통화정책은 성장세 회복을 지원하면서도 금융안정 리스크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되지 않도록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해야 하겠지만 금융 안정이 저해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며 "소규모 개방경제 국가의 경우 대외 충격이 발생하면 자본유출과 통화가치 절하가 급격히 진행될 위험이 상대적으로 크다"고 설명했다.
구조개혁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그는 "구조개혁을 통해 경제의 복원력을 강화한다면 거시경제정책 완화의 정도를 과도하지 않게 할 수 있다"고 발언했다.
현재 글로벌 경제 상황에 대해서는 "미국 통화정책의 불확실성과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등의 영향으로 국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졌다"면서 "주요국이 경기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거시경제정책을 완화적으로 운용해 왔지만, 대부분 국가가 구조적 요인 등으로 인해 저성장 기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편 국책연구기관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현정택 원장은 "신흥국은 활용 가능한 정책수단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며 "우선 통화정책의 독립성을 최대한 확보해 정책의 효과가 실물로 이어질 수 있는 여건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국제금융시장의 높아진 불확실성은 신흥국의 급격한 자본유출뿐만 아니라 높은 환율변동성을 일으킨다"며 "급격한 환율변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정책대안이 필요하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