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로부터 자사 차종들에 대한 인증 취소 및 판매 금지를 통보받은 아우디폭스바겐 측이 여전히 정부의 입장에 반발하는 기조를 유지하고 있어 앞으로도 사태가 장기화될 것으로 보인다.
아우디폭스바겐은 정부가 밝힌 배출가스 '임의조작' 부분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자세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도의적 차원에서라도 소비자들에게 미국에서와 같은 배상 등의 조치를 국내에서 이행할 가능성은 여전히 없어 보인다.
이 회사는 일단 다가올 청문회에서 정부의 조치가 지나치다는 점을 피력할 예정이지만 별다른 변화가 보이지 않을 경우 행정소송까지 고려하는 등 법적 대응에 주력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12일 배출가스와 소음 등 시험성적서 조작에 대해 32종의 차량 79개 모델에 대해 인증 취소를 통보받은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측은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하느라 분주한 상황이다.
일단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의 입장은 바뀐 것이 없다. 임의조작 사실을 시인할 수 없다는 기존 입장을 그대로 고수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오는 22일로 예정된 환경부의 청문회 과정에서 정부의 제재가 과도하다는 점을 소명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알려졌다. 시험성적서 조작 등과 관련된 일부 차종의 경우 다소 경미한 위반사항이라는 점 등을 강조하면서 판매까지 금지한 제재 수위를 낮춰달라고 요구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이 같은 소명에도 불구하고 이달 말 정부의 조치가 최종 확정될 경우 행정소송까지 제기하는 방안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입장에서는 결국 행정소송에 나설 경우 1심 판결까지 수개월이 걸리는 데다 법원이 행정처분에 대한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일 경우 정상영업도 가능해질 수 있다.
이처럼 시간을 벌 수 있다는 점 때문에 행정소송까지 이어지는 장기화 국면은 불가피해 보인다. 아우디폭스바겐 본사도 입장 변화가 없는 만큼 국내에서 쉽사리 두 손을 들 태세가 아니다.
그러나 지난해 보였던 할인마케팅 등은 자제한다는 분위기다. 월 판매량이 2000∼3000대 수준이었던 폭스바겐은 지난해 9월 디젤게이트 파문 이후 판매량이 1000대 미만으로 급감하자 대대적인 프로모션 행사에 나섰고 같은 해 11월 4500여대를 판매하면서 월 판매량을 1위로 끌어올린 바 있다.
이어 올해에도 3월과 5월 등 판매량이 감소한다 싶으면 특별프로모션 등에 나서는 모습을 보여왔다.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관계자는 "분명히 잘못한 부분도 포함돼있지만 다 받아들이기엔 과하다는 부분도 있고 해서 청문회에서 최대한 소명해보려고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