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들어 취업자 수 증가폭이 30만명대를 회복하는 등 고용 지표가 다소 개선됐지만 경남 등 조선업 생산시설이 밀집한 지역에서는 구조조정의 여파가 본격화하고 있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경남과 울산 등 조선업 밀집 지역에서는 실업자 수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의 실업자 수는 6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5만명) 대비 39.4%나 증가했다. 울산의 실업자 수도 1만9000명에서 2만1000명으로 1년새 11.1% 늘었다.
두 지역의 실업률도 급등했다. 경남 지역의 실업률은 지난해 6월 2.9%에서 지난달 3.9%로 1년 만에 1%포인트나 올랐다. 경남의 실업률은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99년 6월 이후 처음으로 전국 평균(3.6%)을 넘어섰다. 울산의 실업률도 3.2%에서 3.6%로 0.4%포인트나 상승했다.
지난달 전국의 취업자 수는 2655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5만4000명(1.4%) 증가했다.
취업자수 증가폭은 4월(25만2000명)과 5월(26만1000명) 두 달 연속으로 20만명대에 머물다 3개월 만에 30만명대를 회복했다.
하지만 고용 지표가 다소 개선된 것은 지난해 6월 메르스 사태로 서비스업 고용 지표가 악화됐던 것의 기저효과 성격이 크다.
지난달 취업자 수 증가세는 숙박 및 음식점업(+6.1%), 부동산업 및 임대업(+5.3%),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8.0%) 등 서비스업이 주도했다.
심원보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작년 6월 메르스가 확산되면서 취업자 규모가 많이 둔화된 업종이 숙박업과 음식점업이었다"며 "그런 기저효과가 작용해서 지난달에는 서비스업 취업자 수가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오히려 제조업 고용 증가세는 눈에 띄게 둔화됐다.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1만5000명(0.3%)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난해 12월 14만6000명 수준이었던 제조업 취업자수 증가폭은 올해 들어 지속적으로 축소돼 10분의 1 수준까지 내려갔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제조업 부진 심화, 경남 등 조선업 밀집지역 실업률 상승세 지속 등 구조조정에 따른 고용시장 하방리스크 지속되고 있다"며 "추경의 신속한 편성·집행 등을 통해 경기·고용 하방리스크에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