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칠레 FTA 12주년을 맞아 변화된 통상환경을 반영한 양국 간 FTA 업그레이드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전경련은 12일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 따글레(Eduardo Frei Ruiz-Tagle) 칠레 前대통령을 초청 ‘한-칠레 비즈니스포럼’을 개최하고, 브렉시트 등 세계경제 불확실성 하에서 양국 간 통상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한-칠레 비즈니스포럼에서 이건산업 박영주 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2004년 한-칠레 FTA 발효 이후, 양국 간 교역액은 약 4배 증가했으며, 한-칠레 FTA는 아시아국가와 중남미국가간의 성공적인 첫 번째 FTA다’라고 말했다. 또한 ‘FTA 체결 이후 양국 협력 분야가 ICT, 교육, 문화 등으로 다변화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이라고 전했다.
지난해 한국과 칠레의 교역규모는 61억 달러로 FTA 발효 전인 2003년 16억 달러에서 약 4배 증가하였다. 전경련은 같은 기간 한국의 세계 교역 규모는 약 2.6배 증가하였고, 칠레와 FTA를 체결하기 전에 교역 규모가 감소세였던 것을 감안하면, FTA 효과가 확실히 나타난 셈이라고 전했다.
또한 이날 안드레스 레보례도(Andres Rebolledo) 칠레 통상부 차관은 FTA, TPP, 태평양 동맹을 통한 한-칠레 통상협력 심화·발전 방안을 제안했다.
TPP(Trans-Pacific Strategic Economic Partnership)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경제 통합을 목표로 모든 품목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 철폐 협정으로 2015년 10월 미국, 일본, 호주, 칠레 등 참여 원으로 설립된 남미 국가들의 경제공동체로 우리나라는 옵저버 회원국이 위치에 있다.
전경련 허창수 회장은 비즈니스포럼 이후 진행된 오찬간담회에 참석해 최근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등 세계경제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가운데 양국 간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전경련 엄치성 국제본부장은 ‘한국과 칠레는 각각 2011년, 2003년 EU와 FTA를 발효하였으며, 브렉시트로 EU와의 FTA 체결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며 ‘EU와 FTA를 체결한 한국과 칠레 간의 유럽 및 영국과의 통상환경 불확실성에 대한 공동대응노력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날 한-칠레 비즈니스포럼 및 오찬에는 한국측에서 허창수 전경련 회장, 박영주 이건산업 회장, 이장한 종근당 회장 등이 참석했으며, 칠레측에서는 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 따글레 칠레 前대통령, 안드레스 레보례도 칠레 통상부 차관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