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기업 제품의 세계 시장 점유율이 급속도로 확대되면서 한국을 추월할 기세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4일 보도한 '2015년 55개 상품·서비스 세계 시장 점유율 조사'에서 한국과 중국은 각각 8개 품목에서 1위를 차지해 공동 3위를 기록했다. 미국은 18개 품목에서, 일본은 11개 품목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며 각각 1,2위를 기록했다.
2014년 조사에서 한국은 8개 품목에서 1위, 중국은 6개 품목에서 1위를 차지했었지만 올해 양국은 어깨를 나란히 했다.
자동차, 산업차량, 조선, 검색엔진, 태블릿 등 주요 55개 품목을 대상으로 실시된 이번 조사에서 한국은 조선에서 현대중공업이, 휴대전화 단말기 및 디램(DRAM), 낸드형 플래시 메모리 등에서 삼성그룹의 6개 제품이 1위를 차지했다.
특히 조선 부문에서 상위 5개사 중 4개사가 한국 기업이었다. 지난 조사에서 1위였던 대우조선해양은 컨테이너선의 건조 물량 감소로 3위로 내려서고, 현대중공업이 1위로 올라섰다. 일본의 중형급 조선업체인 이마바리(今治)조선은 2위로 맹추격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중국기업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양국은 점유율 2위와 3위 기업수도 7개, 5개로 똑같아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감시카메라, 태양전지 등에서 약진이 두드러진 가운데 풍력발전기, 세탁기, 가정용에어콘, 냉장고 등에서 1위를 차지했다. 풍력발전기의 경우 2015년 신규 수요의 절반을 중국이 차지해 중국의 '골드윈드'사의 점유율이 전년 대비 3.8%포인트 증가한 12.8%로 확대해 단숨에 선두로 진입했다.
세탁기와 냉장고에서도 중국의 하이얼그룹이 선두를 차지했으며 PC는 레노버 그룹, 감시카메라가 하이크비전, 태양전지는 트리나솔라가 1위를 거머쥐는 등 총 8개 중국 기업이 시장점유유율 1위를 차지했다.
1위뿐 아니라 점유율 4~5위를 기록하며 한국을 맹추격하는 중국 기업들도 눈에 띄었다. 중대형 액정패널 모두 중국의 BOE가 5위로 올라섰고, 박형(薄型) TV에서는 하이센스와 스카이워스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도 레노버, 화웨이가 점유율을 높이며 4~5위권으로 진입했다.
일본 기업과 경쟁하는 중국 기업 제품은 한국에 비해 적었지만 일본 니치아(日亜)화학공업이 선두를 지키는 백색발광다이오드(LED)에서 중국 삼안광전이 저가 공세를 통해 처음으로 4위에 진입했다.
일본은 중·소형 액정패널 부문에서 재팬디스플레이가 2년 만에 정상을 탈환하는 등 1위 품목 수를 지난해 9개에서 11개로 늘렸다. 스마트폰 사진 및 동영상 촬영 등에 사용되는 CMOS이미지 센서에서 소니가, 탄소섬유에서는 도레이가 1위를 차지했다. 이밖에 산업용 로봇, 타이어, 마이크로 컴퓨터, 중소형 디스플레이, 렌즈 교환식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에서 선두였다.
자동차에서는 도요타 자동차가 근소한 차이로 1위를 지킨 가운데 시장점유율을 높인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0.1포인트 차로 바싹 다가섰다. 전년도 2위를 기록한 독일 폭스바겐(VW)은 배기가스 조작 파문으로 판매량이 감소해 3위로 전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