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5.24. (토)

기타

숭례문→훈민정음…국보 1호 논쟁 국회서 다룬다

훈민정음’ 국보 1호 지정에 관한 청원이 국회에 제출됐다.

문화재제자리찾기는 31일 오전 국어문화협의회·우리문화재지킴이와 함께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의 소개로 ‘훈민정음 국보 1호 지정에 관한 청원’을 냈다.

이들 단체는 지난해 ‘훈민정음 국보 1호 지정 10만 서명운동’을 전개, 12만명의 서명을 받아 문화재청에 전달하는 등 훈민정음 국보 1호 지정을 추진해왔다.

국보 1호 변경 문제는 김영삼 전 대통령 때인 1996년이래 20년째 논란을 거듭한 문제다. 2005년 감사원은 ‘숭례문은 조선 총독이 지정한 문화재로 국보 1호로서 상징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변경을 권고하기도 했다.

당시 유홍준 문화재청장은 국보 1호로 훈민정음을 지정을 추진하기도 했으나 문화재 위원회가 ‘사회적 혼란’을 이유로 부결, 현재가지 숭례문이 국보 1호를 유지하고 있다.

이번 청원으로 20년째 논란을 거듭한 국보 1호 변경문제는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됐다. 특히 국회 청원이 제출되면서 국보 1호 변경문제는 문화재청의 소관사항을 떠나 국회에서 국민 여론을 수렴하는 방안으로 전환됐다.

문화재제자리찾기 측은 “10년 전 훈민정음 국보 1호 지정을 추진하던 문화재청이 현재는 국보 1호 변경에 난색을 표명하고 있다”며 “이런 모순적 상황에 대해 국회 차원에서 논의가 시작되면 합리적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어 “2015년 여론조사 결과 국민 64%가 숭례문보다 훈민정음이 국보 1호로 적절하다는 여론조사 결과 있다”며 “2008년 숭례문 소실이후 부실과 비리로 얼룩진 숭례문보다 민족 문화를 대표하는 훈민정음이 국보 1호로 변경돼야 할 적절한 시점이 도래했다고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문화재제자리찾기 혜문 대표는 “문화재청의 소관을 떠나 국회 차원에서 논의되는 것이 이번 청원의 중요성이라고 생각한다. 국민 여론과 당위성에 대한 합리적 논의가 시작되면 문화재청이 10년 전 훈민정음 국보 1호 지정을 추진하고 현재는 반대하는 모순적 상황에 대해 합리적 의사결정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국회 청원이 제출되면 국회법상 해당 상임위에서 논의를 거쳐 본회의에 상정된다. 훈민정음 국보 1호 지정 문제가 본회의에서 채택되면 정부에 필요한 후속조치를 시행하게 해 국보 1호를 둘러싼 지난 20년간의 논란이 종식될 전망이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