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엔 일자리가 없고 농촌엔 일할 사람이 없는 미스매치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정부가 내놨다.
26일 농림축산식품부는 "농번기 인력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영농작업반을 운영하는 등 2017년까지 농식품 분야 일자리 약 1만3800개를 창출하기 위해 농식품부 및 유관기관의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우선 농촌의 빈자리를 도시 유휴인력의 일자리로 탈바꿈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농가인구의 지속적인 감소와 고령화로 농촌의 노동 인력 수요는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농작업 고용 중개 기능은 미흡해 인력 확보가 힘든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일손부족이 심한 시군을 중심으로 '거점인력중개센터'(지역농협)를 두고 해당 시군 또는 인접 도시의 인력중개기관과 협업해 도시 유휴인력이 참여하는 영농작업반을 구성하기로 했다.
영농작업반은 일반적으로 10~40명으로 그룹화해 농가·농업법인으로부터 농작업 위탁을 받아 작업을 수행한다. 농한기를 제외하고는 연중 지속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정부는 또 청년층의 영농 창업 지원을 위해 올해부터 '청년 농산업 창업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귀농인을 대상으로 농지 등 영농 창업을 위한 자금을 지원하고 농업법인이 농업고등학교·농업대학 졸업생 또는 석사급 이상의 전문인력을 채용할 경우에도 지원할 방침이다.
이동필 농식품부 장관은 "향후 도시 청장년층의 귀농·창농을 적극 유도하고 유망직업군을 발굴해 청년층 취업을 유도함으로써 농림업 분야 생산성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