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50대 대기업들이 자발적인 정보 공개에 소극적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기업들이 공시 제도 등으로 강제성이 부여되지 않으면 정보 공개를 꺼려 투명성이 악화될 개연성이 크다고 이들은 주장했다.
한국투명성기구는 26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한국의 50대 기업 투명성 조사결과'를 발표하면서 한국 기업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국 대기업들은 반부패 프로그램과 조직투명성이 각각 5.6점, 6.9점이었고 국가별 보고서에서는 0.14점을 기록했다.
투명성기구는 결과를 놓고 대기업들의 조직 투명성이 선진국이나 개발도상국 대비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은 인정했다.
다만 부패나 국가별 보고서 측면에서는 개선해야할 부분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조직 투명성에서 높은 점수가 나온 것은 공시 제도 덕택이었지만 다른 부문에서는 정보 공개를 요구하는 제도적 장치가 미흡하다는 결과"라며 "특히 국가별 보고서의 점수는 개발도상국이 가장 높은 0.9점이었지만 한국은 가장 낮은 0.14점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의 대기업들은 대부분 세계적으로 활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세계적인 기업들과 점수 차가 상당하다는 점이 문제"라며 "기업 경쟁력의 중요한 지표로 부각되고 있는 반부패 활동부문에서 국제적인 수준에 뒤쳐지는 것은 치명적인 약점이 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한국의 대기업 가운데 투명성이 '매우 좋음' 등급으로 나타난 회사는 단 한 곳도 없었다. 한국전력공사만이 유일하게 '좋음' 등급을 받았다.
반면 투명성 수준이 낮은 것으로 조사된 대기업은 ▲농협금융지주 ▲대한항공 ▲삼성물산 ▲신한금융지주 ▲한화 ▲현대모비스 ▲현대자동차 ▲효성 ▲CJ ▲GS칼텍스 ▲산업은행 ▲기업은행 ▲LS ▲SK하이닉스 등이었다.
투명성기구는 "한국의 기업들은 제도나 정책에 의해서 요구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정보공개 정도가 낮다"며 "정부와 국회는 기업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정책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