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5.24. (토)

기타

'친박계 좌장' 최경환, 당 대표 초읽기 들어갔다

친박계 좌장인 새누리당 최경환 의원의 당 대표 등극이 초읽기에 들어간 모양새다. 최 의원은 24일 정진석 원내대표와 비박계 수장인 김무성 전 대표와 '3자 회동'을 가졌다.

이들은 이 자리에서 새 비상대책위원장 인선과 지도체제 개편 등 당내 현안 전반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최 의원은 친박계 대표 격으로, 김 전 대표는 비박계 대표 격으로 자리한 셈이다.

사실상 계파 수장들이 모여 총선 참패 후 이어진 당내 갈등을 봉합하는 모양새를 취한 것으로 이를 두고 당 일각에서는 최 의원이 친박의 대표 자격을 부여받은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사실상 최 의원이 당권 도전을 대내외에 천명한 것이란 해석이다.

당 대표는 오는 8월로 예정된 전당대회에서 선출된다. 김 전 대표와 최 의원, 정 원내대표가 이번 회동을 통해 단일지도체제로의 변화에 공감대를 이룬 만큼 이번 전대에서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이 분리 선출될 전망이다.

현재 '조직 투표'의 핵심인 당협위원장과 당원 구성을 보면 총선 참패에도 불구하고 친박계가 수적 우위를 점하고 있다. 특히 단일지도체제에서는 친박계 당권 도전 후보군이 단일화 될 가능성도 높아 최 의원의 당권 획득 가능성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반면 비박계에서는 이에 대적할 뚜렷한 후보군도 없는 상황이다. 현재 비박계에서는 정병국 의원 외에는 출마를 고려하고 있는 후보자가 없다.

이같은 상황에 대해 한 비박계 의원은 "집단지도체제를 단일지도체제로 바꾼다는 것은 친박 후보 난립을 막고 확실한 친박 후보를 내세워 당을 장악하겠다는 의도"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하지만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친박계가 분열하지 않는 이상 최 의원의 당 대표 등극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따라서 최 의원이 당권 도전을 선언할 경우, 이는 곧 김무성 전 대표에 이어 최 의원이 당 대표로 직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