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5.24. (토)

경제/기업

지난해 지반 침하 1036건…하수관 손상 54%로 1위

지난해 지반 침하 현상(싱크홀)이 평년과 비교해 급격히 증가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자연발생 보다는 하수관 손상, 상수관 손상, 굴착공사 등 인적 요인이 대부분이었다.

1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지반 침하는 총 1036건이다. 이 중 서울시가 734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기도 122건, 강원도 27건, 울산시 21건, 충청북도 13건, 대전시 12건 등으로 나타났다.

지난 5년간 지반 침하는 총 4088건으로 이 중 서울시가 3626건으로 1위를 기록했다. 이어 경기도 147건, 광주시 84건, 경상남도 36건, 부산시와 울산시가 28건, 강원도가 27건 등이다.

연도별로는 2011년 573건, 2012년 723건, 2013년 898건으로 소폭 증가하다가 2014년 858건으로 다소 줄어들었다. 그러나 지난해 1036건으로 대폭 증가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난해 제2롯데월드몰 인근에서 싱크홀이 발생하면서 국민적인 관심이 되다보니 지반 침하에 대한 제보가 늘어 수치에 반영된 것 같다"면서 "과거에는 싱크홀이 발생했음에도 싱크홀인지 모르고 넘어갔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원인별 지반 침하 발생현황은 하수관 손상이 564건으로 54%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관로 공사 등 기타 원인이 432건으로 42%, 상수관 손상이 40건으로 4%를 기록했다.

지난 5년간 수치를 살펴보면 하수관 손상이 2902건으로 71%를 차지해 지반 침하의 주요 원인으로 밝혀졌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내의 경우 강원도 정선 등에서 자연 발생 싱크홀이 생기는 경우가 있지만 대부분은 상하수관 노화나 굴착 공사 등의 원인으로 지반 침하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오는 20일 오후 2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지반침하에 특히 취약한 시기인 장마철에 대비해 '지반침하 예방대책' 2차 점검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회의에는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국민안전처 등 지하공간의 안전을 담당하는 관계 중앙부처와 전국 17개 시·도의 국장급들이 참석한다.

국토부는 "상·하수도 등 지하매설물 안전관리와 굴착공사 현장 관리·감독에 만전을 기해 줄 것을 지자체에 당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