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5.24. (토)

기타

5·18 외신기자 "광주는 압도적 힘에 굴복하지 않아"

1980년 5·18광주민주화운동을 세계에 알렸던 외신기자들이 36년만에 광주를 찾아 "광주의 희생이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만들었다"며 당시 생생했던 기억을 전했다.

5·18 당시 현장 취재했던 브래들리 마틴(Bradiey martin·당시 볼티모어 선 도쿄지국장)·도날드 커크(Donald kirk·시카고 트리뷰)·노만 소프(Norman thorpe·아시아월스트리트 저널)·팀 셔록(Tim shorrock·저널 오브 커머스) 외신기자들은 16일 오후 광주 동구 5·18기록관 7층에서 광주시민과 생생토크를 진행했다.

외신기자들은 36년 전 그날의 기억을 떠올리며 5·18의 노래 '임을 위한 행진곡' 주인공인 윤상원 열사의 희생정신을 높게 평가했다.

브래들리 마틴은 "당시 5월16일 하루 동안 광주에서 취재했다"며 "항쟁 지도부가 기자회견을 열었고 윤상원을 처음 만났다"고 회상했다.

그는 "윤상원에게 '도시 밖에서 압도적인 힘을 갖고 있는 군사정권이 들어오고 있는데 무섭지 않느냐'고 질문했는데 그는 '끝까지 싸울 것이다. 자신과 동료들은 죽을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뒤늦게 알았지만 정말 그는 그렇게 했고 그와 그의 동료는 끝까지 굴하지 않았던 순교자 였던 것을 알 수 있었다"며 "뒤늦게 윤상원의 가족과 친구를 인터뷰 할 수 있었고 그에 대해서 더 많은 것을 알게됐다. 굉장히 용기있는 사람이었다. 여러분들은 멋진 투쟁을 해준 분들의 희생이 지금의 자유를 누릴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전했다.

5·18 당시 시민군의 기억을 떠올린 노마 소프는 "서울에서 광주로 5월21일 내려왔는데 도로가 막혀 도심으로 진입하지 못했다"며 "그런데 당시 시민들이 내가 카메라와 보도완장을 차고 있으니까 차량를 태워줬다"고 말했다.

이어 "그들은 내게 '사람이 죽어가고 있다'는 말을 하며 작은 병원을 소개시켜 줬다"며 "그 병원에는 다리에 총을 맞은 청년이 누워 있었다"고 이야기했다.

아울러 "차량에 총을 든 시민이 타고 있어 처음에는 무서웠지만 이들은 총격전이 벌어지고 있는 시내를 빨리 지나 시신들이 쌓여 있는 기독교병원에 내려줬다"며 "병원에 있는 시신을 보고 많이 놀랐다. 당시 시민군들이 없었다면 취재를 할 수 없었을 것이다"고 설명했다.

도널드 커크는 "5월18일 이후에 광주에 왔는데 시민들이 돌을 던지며 시위를 준비하고 있었다"며 "당시 미국 대사관은 '별일 없다'고 답변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그는 또 "시민군들이 프레스카드를 따로 만들어 줘 취재 할 수 있었고 시위를 계속 할 것인지에 대해 질문을 한 뒤 기사를 작성하고 다시 광주에서 왔는데 참상을 목격했다"며 "수많은 관, 시신을 확인하는 가족들의 모습을 보니까 가슴이 아팠다"고 기억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당시 광주 5·18은 대한민국이 독재에서 민주화로 돌아설 수 있는 분수령이었다"며 "광주민주화운동이 없었다면 지금 누리고 있는 민주주의가 없었다고 생각한다. 광주의 희생정신을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열린 기자회견에서도 이들은 "광주시민들이 36년 전 그날을 기억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며 "광주 항쟁의 교훈과 정신이 잊혀지지 않을 것이다"고 밝혔다.

또 "광주항쟁을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공유할 수 있다는 사실, 아픔을 나눌 수 있다는 사실이 놀랍고 영광스럽다"며 "모두 현대화됐지만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국가 폭력에 맞서) 죽을 만큼 열심히 싸웠는지 생각하게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5·18 민주화운동은 타국에서 일어난 시민 항쟁과는 다른 정신이 있다고 평가한 이들은 "5·18 당시 미국이 관련됐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미국은 아직까지 공개를 하지 않고 있다"며 "진실이 빨리 공개되고 전두환 정부 등이 광주에 찾아와 사과하는 날이 오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에 앞서 동구 금남로 옛 전남도청 별관을 둘러보며 36년 전 취재 현장을 회고했으며 임시 오월 기자실에서 달라진 광주를 주제로 기사를 작성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