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패신화'를 보여줬던 세종시 부동산 시장이 검찰의 불법 전매 의혹 수사로 급속히 냉각하고 있다.
세종시는 지난해 3월부터 올해 4월까지 13개월 동안 '미분양 0건'이라는 놀라운 성적을 거뒀지만 최근 검찰이 세종시 공무원의 아파트 분양권 불법 전매 수사를 본격화하면서 부동산 시장은 꽁꽁 얼어붙고 있다.
16일 세종시 부동산 업계는 그야말로 뒤숭숭한 분위기다. 한솔동, 종촌동 등 신도시 부동산중개업소 일부는 문을 닫고 휴업에 들어갔고 그나마 문을 연 곳도 수요자들의 발길이 뜸해지면서 울상이다.
세종시 부동산중개업소 관계자는 "검찰 수사 사실이 알려진 뒤 문의가 많이 줄었다"며 "일부 업소는 아예 문을 열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요즘 이쪽 업계에는 적막감과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며 "손님도 없는데 그냥 며칠 쉴까 고민 중"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관계자는 "분양권을 전매해 적잖은 시세차익을 올렸다는 말은 이쪽 업계에선 공공연한 사실"이라며 "이 때문에 다른 지역 중개업자까지 세종시 분양시장에 뛰어들었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검찰 수사가 본격화할수록 업계 및 부동산 시장에 미칠 파장이 클 것이란 우려도 많았다.
종촌동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검찰 수사가 하루이틀 내에 끝나는 것도 아닌데 수사가 장기화할 수록 부동산 시장에는 좋을 것이 없다"며 "괜히 이미지만 나빠지고 거래를 하려던 이들도 망설이다가 그냥 돌아서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한솔동 부동산중개업소 관계자는 "검찰이 중개업소를 압수수색한 것은 중개업소가 불법 전매를 주도했다고 생각했기 때문 아니겠느냐"며 "이미 누구는 검찰에 다녀왔다는 이야기가 돌고 있다. 불법 전매를 알선했든 안했든 많은 이들이 조마조마해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전했다.
검찰은 아파트를 특별공급 받은 공무원들이 수천만원에서 1억원이 넘는 프리미엄(웃돈)이 붙자 입주를 포기하고 분양권을 팔아넘긴 의혹을 수사 중이다. 이 중 전매금지 기간에 분양권을 판 공무원은 올해 초 적발된 9명을 포함해 수십여명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검찰은 또 매매하는 과정에서 실제보다 낮은 가격으로 거래한 것처럼 속여 계약하는 '다운 계약'에 대해서도 들여다 보고 있다. 세종시에 따르면 다운 계약 의심 사례는 지난해 3분기까지 분기당 7~8건 정도였으나 4분기에 155건으로 크게 늘었고, 올해 1분기에도 149건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가운데 세종시는 공공임대아파트를 대상으로 23일부터 거주자 실태 조사에 돌입한다. 불법 임대 사실이 적발되면 임대사업자에게 통보, 계약 해지와 함께 고발 등 법적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