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15일 대통령비서실장 교체를 골자로 한 청와대 참모진 개편에 나섬에 따라 개각 단행 여부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이날 참모진 개편은 4·13 총선 참패로 집권 후반기 국정운영에 치명타를 입은 박 대통령이 정국 반전을 위해 쏘아올린 인적쇄신의 신호탄이라는 분석이 고개를 들고 있어서다.
정치권에서는 총선 직후부터 청와대 참모진과 내각에 대한 인적쇄신 요구가 끊이지 않았다. 집권 세력에 매서운 심판을 내린 민심을 조기에 수습하고 국정 동력을 추스려 레임덕(권력누수)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인적쇄신을 통한 국면전환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쉽사리 움직이지 않았다. 박 대통령은 지난달 26일 언론사 편집·보도국장 오찬간담회에서 "국면을 전환하기 위해 내각을 바꾼다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청와대도 참모진 교체 가능성을 부인해 왔다. 여의도에서 치른 선거 결과에 대한 책임을 청와대에서 지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청와대 내부에서는 이병기 대통령비서실장과 현기환 정무수석 등이 일찌감치 총선 참패의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하는 등 인적쇄신의 전조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이날 이원종 신임 비서실장 발탁 등의 청와대 참모진 개편으로 이어졌다.
이를 두고 청와대 개편은 인적쇄신의 신호탄이며 그 연장선에서 개각도 자연스레 뒤따를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더구나 박 대통령은 이미 정무장관 직 신설에 대해서도 필요성을 어느정도 인정하는 분위기이다. 정무장관 신설 시 개각도 함께 이뤄질 수 있다.
여기엔 침체된 분위기를 일신하고 조직을 재정비해 1년 9개월의 남은 임기 동안 여소야대(與小野大) 정국 속에서 가능한 선까지 국정 장악력을 틀어 쥐고 있어야 한다는 현실적 이유가 있다. 특히 노동개혁 등 4대 구조개혁 뿐만 아니라 경제부터 외교안보까지 국정의 전 분야에 걸쳐 야권의 반발과 간섭으로 정책 추진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이는 만큼 지금보다 강한 정치력과 힘 있는 내각이 필요성도 제기된다.
개각이 단행될 경우 박근혜정부 출범 당시부터 자리를 지켜온 윤병세 외교부 장관,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윤성규 환경부 장관 등이 우선적인 교체 대상으로 검토될 전망이다. 환경부 장관의 경우 야권과 시민단체로부터 가습기살균제 사망사고의 책임을 이유로 해임 요구가 뿜어져 나오고 있다.
그러나 개각의 필요성은 있지만 현실적으로 후임자 물색이 쉽겠느냐는 현실적 문제가 남아 있다. 더구나 20대 국회는 여소야대 상황이다. 인사청문회가 시작되면 두 야당에서 집중적으로 해당 후보자를 공격할 게 분명하다. 자칫 거대 야권의 집중포화 속에서 후보자들이 도덕성 등에 상처를 입게 된다면 정권 차원의 타격으로 이어질 수 있어 개각에 더욱 소극적일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여기에다 인사 때마다 박 대통령과 청와대의 고민을 키웠던 인물난도 작용한다. 이미 미래권력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집권 후반기에 들어선 박 대통령의 '구인난'은 더욱 심화된 상태로 봐야 한다.
이 때문에 개각 가능성을 그리 높지 않게 보는 관측도 있다. 지난 편집·보도국장 간담회를 비롯해서 그동안 박 대통령은 국면전환이나 분위기 쇄신을 위한 '깜짝 개각'에 부정적인 취해 왔던 것도 이같은 우려와 맥이 닿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