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기념재단은 '5·18광주민주화운동 해외 알림이' 활동을 하고 있는 독일 교포 이종현(80)씨가 제36주년 기념행사에 초청돼 입국하려다 강제출국을 당한 것에 대해 인권 침해라고 판단하고, 진정을 제기할 방침이다.
기념재단은 오는 16일 이씨 입국을 거부한 인권공항출입국관리소장, 법무부 장관 등을 대상으로 국가인권위 광주사무소에 진정서를 접수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기념재단은 "이씨가 입국 거부·강제 출국 과정에서 공항 출입국관리 직원들로부터 비인격적인 대우를 당했으며, 출입국관리소 등이 정당한 사유와 근거 없이 입국 금지자로 지정·요구해 이씨 인권을 침해했다"고 주장했다.
또 "출입국관리소는 '대한민국의 이익이나 공공의 안전을 해치는 행동을 할 염려가 있다고 인정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사람'이라는 이유로 이씨의 입국을 거부한다는 피상적인 답변만 늘어놓았다"고 비판했다.
이씨는 지난 13일 오전 인천공항에서 부인과 함께 입국이 거부됐으며, 같은 날 오후 12시30분 프랑크푸르트행 여객기를 이용해 독일로 돌아간 것으로 전해졌다.
이씨는 해외 5·18아카이브 기획전시와 광주아시아포럼에 초청받았으며, 해외 5·18기록물 기증 활동 등에 관해 발표를 앞두고 있었다.
이씨는 1965년 파독광부로 독일에서 생활하다 대학까지 졸업한 뒤 현지 여성과 결혼했다. 1980년 광주 5·18 소식을 듣고 참상을 알리기 위한 해외 연대 활동과 통일 운동 등을 활발하게 펼쳤다.
5·18을 해외에 알리기 위해 처음으로 독일 시위를 주도했으며, 재유럽오월민중제 대표 등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