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세무사회장 선거운동 과정에서 선거규정 위반 혐의로 6명의 세무사에 대해 ‘회원권리 정지 1년’을 확정한 4.19 징계파동 이후 백운찬 회장의 사퇴를 요구하는 1인시위까지 벌어졌지만, 백운찬 회장은 징계논란에 대해 애써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세무사회집행부의 분위기는 이사회 결정은 이사 각자의 판단에 따라 결정될 문제라는 원론적 입장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그간 백운찬 회장은 징계논란에 대해 ‘회(會) 화합차원에서 좋은 결과가 나올수 있도록 하겠다’고 공언해 왔다는 점에서 세무사계의 실망감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를두고 백운찬 회장이 이사회를 앞두고 징계완화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는 시각과 함께, 이사들을 설득할수 없는 영향력과 리더십 문제도 거론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회원권리 정지 1년의 징계를 받게되면 향후 4년간 세무사회 임원선거에 입후보할수 없다는 점에서, 내년에 치러질 세무사회장선거에 나 올만한 경쟁자들을 징계를 이용해 낙마시키려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로인해 징계이후 백운찬 회장의 공식입장에 관심이 쏠린 가운데, 5월 2일자 세무사신문을 통해 백 회장은 이사회 의결에 참석할수 없었던 부분만을 집중해명했다.
하지만 세무사신문은 6명의 세무사가 과연 어떠한 선거규정위반 혐의로 징계를 받았는지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이, 본회에 교육잉여금을 반환하지 않은 중부지방회에 대한 부당성을 맹비난했다.
신문내용 보면 7명의 이사들이 금번 징계에 대해 언급했는데, 선거규정을 위반한 내용은 찾아볼수 없다. 유일하게 선거 논란 부분에 대해 언급한 임 모 이사는 “선거란 엄정하고 공정해야 한다”며 금번 징계가 타당한지 부당한지 묘한 뉘앙스를 남겼다.
금번 징계논란에 대해 백운찬 회장은 오로지 ‘규정’만을 거론하며, 논란의 대상에서 벗어나려는 분위기다.
지난해 선거과정에서의 징계가 백 회장의 경쟁자에게만 무리한 잣대를 적용했다는 논란과 징계 형평성 문제는 제처놓더라도, 금번 징계로 인한 세무사계 논란에 대한 최소한의 ‘유감’ 표명도 없었다는 점에 대해 세무사계는 납득할수 없다는 반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