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5.25. (일)

경제/기업

금융당국, 채권단 앞세워 현대·삼성重도 솎아내기…대우조선은 추가 인력 감축

전방위에 걸친 기업 구조조정 도마 위에 오른 기업은 이른바 조선업계 빅3로 불리는 대우조선해양과 현대·삼성중공업이다.

정부는 기존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대우조선의 경우 자구계획을 전면 재조정하고, 삼성과 현대중공업도 채권금융기관 관리 아래 넣을 예정이다.

26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이날 주채권은행이 삼성·현대중공업으로부터 받을 자구계획에 관한 논의를 진행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주채권은행이 삼성·현대중공업을 관리하게 된 것을 처음 논의한 것"이라며 "어려운 상황을 고려해 회사와 협의를 통해 상황을 지켜보는 방향으로 가자는 정도로 얘기가 오갔다"고 했다.

조선업 구조조정이 대우조선에서 삼성과 현대중공업까지 확산, 이른바 빅3로 불리는 조선3사 모두 조치가 필요하다는 평가를 받은 셈이다.

대우조선의 경우, 지난해 대규모 부실이 표면에 드러나면서 구조조정이 시작됐다. 이 과정에서 분식 회계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당시 업계에서는 대우조선의 부실 이유를 기업 자체의 문제라기보다, 시장 전반에 걸친 사안이라고 봤다.

업황 둔화와 경쟁 강화, 미청구 공사가 부실로 이어지는 등의 구조적인 문제가 대우조선을 문제 기업으로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삼성과 현대중공업의 경우, 대우조선과 손실을 인식한 시점만 다를 뿐 실적 악화 부정적인 환경에 노출돼 있는 것은 마찬가지라는 지적도 있었다.

특히 두 회사의 해양 플랜트 사업에서 부실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일정 부분 손을 봐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있어왔다.

대우조선과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의 신용등급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기도 했다. 나이스신평이 밝힌 이들 기업의 장기신용등급은 2013년 12월말 기준 AA~AA+였다.

하지만 2014년과 지난해 연속으로 신용등급이 강등, 지난 2월 기준 ▲현대중공업 A+ ▲삼성중공업 A+ ▲대우조선 BB+까지 떨어졌다.

삼성과 현대중공업은 각각 1500명 넘는 임직원을 내보내는 등 자체적인 인력 구조조정에 나서기도 했다.
하지만 정부는 보다 강도 높은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 주채권은행의 손을 통해 솎아내기에 들어갔다.

은행들도 머잖아 건전성 부담을 덜면서 구조조정을 진행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된다.

당국은 자산건전성 분류상 추정손실이 아니더라도 상각할 수 있는 방향으로 대손세칙을 개정, 기획재정부 협의를 거쳐 5월 중 시행할 방침이다.

자산건전성 분류 기준은 정상·요주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 5단계로 나뉜다. 이는 부실채권을 안고 있기보다는 손실로써 처리토록 해 금융사의 건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풀이된다.

다만 조선업계의 경우에는 많은 중소기업이 협력 관계로 얽혀 있다는 면에서 대규모 실업 사태가 일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관련, 정부는 삼성과 현대중공업 구조조정 추진 과정에서 추가적인 인력 감축은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실제 정부는 대우조선의 인력 감축 규모를 늘리고, 분기별 평가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당면 과제인 구조조정을 위해 채권자와 주주, 임직원 모두가 일정 부분 감내해야할 부분이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특별고용지원업종 또는 고용위기지역을 지정하는 방식으로 실업에 대응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각 조선사도 자구계획 추진하고 있지만, 계속해서 어려워지고 있다"며 "최대한의 자구계획을 받아 철저히 시행토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