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조선사에 흩어져 있는 방위산업부문을 통폐합, 해양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설립 추진 가능성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대형조선업체의 방위사업부문을 떼어 한 곳에 묶는 방식의 사업구조재편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우선 산은의 자회사인 대우조선해양의 일부 부서를 매각해 방산부문만 남겨두는 방법이 거론된다.
현대중공업과 한진중공업,STX가 갖고 있는 방산 분야를 떼어 한 곳에 묶을 수 있다면 해양판 KAI 설립이 불가능하지 않다는 것이다.
KAI 역시 1999년 정부가 추진했던 빅딜로 세워진 곳이다. KAI의 출범 역시 외환위기 시절 국내 대기업들의 구조조정으로 이뤄졌다.
외환위기 직후 현대와 삼성, 대우 등 국내 대그룹이 서로 계열사를 교환하고 통합하는 작업을 진행하며 대우중공업과 삼성항공(현 한화테크윈), 현대우주항공 등 3사의 항공기 부문이 합쳐져 KAI가 탄생했다.
세 업체는 시너지를 발생해 KT-1 기본 훈련기를 인도네시아와 터키 등에 수출하는 성과를 얻었고, 국내 자체 개발 헬기인 수리온 등을 생산했다.
현재 차세대 전투기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한국의 군용기 제작과 민간 항공기 부품 생산 등 분야에서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
해양판 KAI를 탄생시키기 위해서는 기업의 자율적인 구조조정에 대한 결단이 필요하다.
삼성의 경우 2014년 자율적인 구조조정을 위해 방산 계열 4곳을 한화그룹에 매각하는 빅딜을 진행했다.
삼성이 매각한 4곳은 ▲한화테크윈 ▲한화탈레스 ▲한화토탈 ▲한화종합화학 등으로 간판을 바꿔 달고 사업을 진행하게 됐다.
한화는 방산분야 경쟁력을 강화했고 삼성은 비주력계열사를 처분하며 윈윈했다는 평가다.
조선분야의 경우 업체간 복잡한 이해관계를 원만히 조정해야 하지만 해당 기업간 자율적 구조조정이 어렵다면 정부가 적극 나설 수 밖에 없다. 결국 문제는 정부의 의지인 셈이다.
조선업체들은 방산 부문을 떼어내는 댓가로 현금 등을 받을 수 있어 구조조정을 가속화할 수 있고, 통합 방산업체도 업체간 과도한 경쟁 없이 정부의 발주 물량을 기반으로 안정적 성장을 꾀할 수 있다. 이 경우 채권단의 조선업체에 대한 신규 자금 지원도 가능해질 수 있다.
이에 대해 채권단인 산은 관계자는 "현실가능성이 없진 않지만 범정부적인 차원의 검토와 긴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며 "아직 대우조선의 구조조정 방향은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