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가 지속가능한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미래부는 18일 이 같은 내용의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을 통한 성장동력 확충' 실현을 위한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미래부는 상생모델 확산, 지역 전략산업 육성, 고용존 구축 등 대기업-중소기업 간 상호 윈-윈모델을 통해 기업의 창조경제혁신센터 참여 유인을 높인다.
창조경제 글로벌 진출·교류도 촉진한다. 판교와 상암에 아시아 최고 창업·문화콘텐츠 허브를 구축하고, 문화적 요소와 결합해 글로벌 진출·교류를 고도화한다.
판교 창조경제밸리에 이어 상암을 디지털 문화콘텐츠 산업거점으로 조성하고 문화창조융합벨트와 연계, 유통·소비·체험 인프라를 구축한다.
창업기업에 대한 지원도 강화된다. 우선 창업비용을 줄이고 진입장벽을 낮춰 쉬운 창업환경을 만드는 한편, 기술창업을 확대해 질 높은 창업을 활성화한다.
미래부는 창업 선도대학 등을 통해 기술창업자(2015년 5000명→ 2016년 6000명), 공공연구성과 기반 창업기업(연구소 기업 등 2015년 433개→2016년 570개) 등을 확대할 방침이다.
자금(크라우드 펀딩 등 민간투자 활성화), 기술(수출중심 중소기업 연구개발 지원), 인력(중소기업 핵심인력 장기근속 지원), 홍보·유통(플랫폼 강화) 등 성장단계 지원도 이뤄진다.
피인수 기업 중소기업 졸업 유예(3년간)·상장제도 합리화 등으로 인수합병(M&A)과 기업공개(IPO)를 활성화해 보상체계도 강화한다.
실패 기업인도 쉽게 재도전할 수 있도록 창업 5년 이내 기업의 연대보증을 전면 면제(신보, 기보)하고 재도전지원센터도 확대(2015년 3개소→ 2016년 7개소)한다.
창조경제를 이끌어 갈 핵심 인재 양성을 위해 창업·산학협력·전공역량 강화를 중심으로 한 '2016 공과대학 혁신방안'도 추진한다. 초중등·대학 소프트웨어 교육도 강화된다.
연구개발 혁신에도 나선다. 재난·안전 등 민간이 소홀히 할 수 있는 분야에 정부 연구개발(R&D)역량을 집중하고 연구몰입 환경을 조성한다. 기후변화, 바이오, 거대과학(우주·원자력) 등 미래 유망분야의 원천기술 선점을 위해 민간·공공 협동으로 R&D·사업화 등도 추진한다.
미래부는 ICT 산업 성과 창출과 융합 확산을 통해 성장동력을 확충한다.
문화-ICT 융합 플래그십 프로젝트(차세대 게임, ScreenX, 테마파크)와 소프트웨어융합 프로젝트(조선·해양, 의료) 등 ICT 융합을 확산한다. 지능정보기술로 ICT 산업을 업그레이드하고 범정부·사회 전반에 스마트 혁신을 추진하기 위한 국가전략도 마련한다.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지능정보 기술을 올해 K-ICT 주요 중점 분야에 추가했다"며 "조만간 지능정보기술에 관련한 종합육성계획을 발표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