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은 17일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감사사각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방행정감사2국을 신설, 오는 18일부터 업무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중부와 영호남지역에 각각 현지사무소도 설치, 현장 감사를 대폭 강화한다.
지방행정감사2국(4개과)은 인천 등 6개 광역시와 강원·충청·전라·경상 등을 담당하며, 3개과(2~4과)는 각각 대전·대구·광주에 현지 사무소를 설치해 상주하게 된다. 기존 지방행정감사1국(4개과)은 서울과 경기를 담당한다.
현지사무소에 상주하는 지방행정감사2국 3개과(2~4과)는 현지 밀착형 감사를 실시하게 된다. 감사원은 이를 위해 현지 감사자료 수집을 강화하고, 문제 발견시 적시에 감사를 실시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감사원은 향후 자치단체 규모 등에 따라 감사순서를 정하고, 그간의 감사빈도 등을 고려해 체계적인 감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또 인사·계약비리·예산 낭비 등 취약 분야를 중점 점검하는 등 다수 기관을 효율적으로 감사할 수 있는 방식을 검토할 방침이다.
감사원 관계자는 "그간 지방자치단체의 방만한 예산집행, 자치단체장 전횡, 소극적 업무처리 등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감사인력의 제한 등으로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감사사각이 발생했고 현지정보 부족 등으로 적절한 감사 수행에 한계가 있었다"며 "지방행정감사국 확대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장 임기중 최소 1회 이상 감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감사사각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감사원 본원을 방문하지 않고 현지 사무소를 통해 감사자료를 제출하거나 협의를 할 수 있게 돼 지방자치단체의 부담이 경감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또 현지 상주를 통해 지역 실정을 깊이있게 이해하여 세밀한 감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