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국회에서 열린 유일호 경제부총리(기재부장관)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는 후보자의 증여세 납부여부가 도마에 올랐다.
문제를 제기한 김영록 의원(더민주당)은 “지난 82년 2월 동작구 상도동 대림아파트를 후보자가 보유하게 됐다”며 취득 배경을 물었다.
유 후보자는 당시 대학을 갓 졸업한 유학생 신분이었으며, 당시 아파트 시세는 2,500여만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유 후보자는 “제가 구입한 것이 아니라, 증여를 받았다”고 답하자, 김 의원은 증여세 납부여부를 물었으며, 후보자는 “증여세를 납부한 것으로 들었다”고 말했다.
이에 김 의원은 “관련제출 요구했는데 제출하지 않았다. 본인이 증명을 해야 한다”고 지적하자 “자료제출 노력을 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오래돼 자료가 없는 것 같다. 국세청에 자료를 요청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김 의원은 “최경환 부총리는 빛내서 집사라는 부동산 부양정책을 썼다. 총체적위기로 터널이 보이지 않는다. 후보자는 터널이 끝이 보이는가”라고 묻자, 유 후보자는 “터널의 끝이 안보일 정도로 위기사항은 아니다”며 “현재 경제상황이 대외리스크 문제에 있어 녹록치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런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김광림 의원(새누리당)은 “후보자의 돌파력과 추진력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있다”고 언급하자, 유 후보자는 “여러면으로 볼수가 있다. 제가 성실하게 필요할 때 추진을 하고, 돌파가 필요할때는 그렇게 하겠다. 돌파라는 것은 적극적으로 소통에 나서라는 뜻으로 알겠다”고 말했다.
이어 “초이노믹스라고 말을 하는데, 최경환 2기 경제팀이 특별한 일을 한 것보다 박근혜 정부의 정책기조를 유지한 것이다. 초이 노믹스를 계승하겠다는 것은 아니다”며 전 경제팀의 정책기조를 유지 할것이라는 우려에 대해 입장을 밝혔다.
김관영 의원(더민주당)은 “후보자가 박근혜 정부의 경제정책 기조에 관여를 했다. 박근혜 정부의 경제민주화 공약이 어느정도 이행됐다고 판단하는가?”라는 질의에 “정책형성에 많이 참여한 것은 아니지만, 대선공약에 경제민주화가 주요한 공약이었다”며 “상당히 노력을 해 진척이 돼있다. 경제민주화 관련 20개 국정과제를 내놓았고 13개 입법은 완료됐다”고 답했다.
이에 김 의원은 “정치인 출신이 부총리가 될 때 장단점이 있다. 중립성 훼손 우려가 문제”라며 “사실 최경환 부총리가 취임한후 이러한 우려 했는데 많이 나타났다”고 지적하자, “정치적 중립을 지키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