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외국인직접투자(FDI)는 신고·도착기준 모두 사상 최고실적을 달성했다.
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신고 기준 FDI는 전년 190억 달러보다 10% 증가한 209억1000만 달러로 최종 집계됐다.
도착 기준은 전년 120억6000만 달러보다 32.3% 늘어난 159억5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신고 기준 국가별 투자액은 미국이 54억8000만 달러로 전년보다 51.8% 늘어난 가운데, 중국도 전년보다 66.3% 증가한 19억8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중동도 13억8000만 달러로 전년보다 514.1% 증가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중국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한류 기대효과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며 "중동은 지난해 3월 정상외교를 계기로 투자협력관계가 보다 강화돼 사상최대 투자유치 실적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유럽연합(EU)은 24억9000만 달러로 61.6% 줄었고, 일본도 16억7000만 달러에 그쳐 33.1% 투자가 감소했다. 일본투자는 엔저로 인해 감소하였고, EU는 지난해 대형 인수·합병(M&A)형 투자의 기저효과로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업종별로는 한류 등 관광 수요확대, FTA 플랫폼을 활용한 물류수요 확대에 힘입어 서비스업이 147억3000만 달러로 31.7% 늘었다. 중동 자본의 국내 건설사 지분투자로 인한 건설 등 기타는 16억2000만 달러로 871.7% 증가했다.
다만 제조업은 저유가, 엔저 영향에 작년 제조업 분야 대형 M&A 투자의 기저효과에 따라 전년 대비 40.3% 감소한 45억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다만 반도체, 2차전지 분야 등 국내 글로벌 기업와 연계된 고부가가치의 부품소재분야 투자는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유형별로는 그린필드형(부지확보·공장설립)이 141억1000만 달러로 28.0% 증가했지만, M&A형은 68억 달러로 14.8% 감소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지난해 신고·도착기준 모두 2년 연속 사상 최고 실적을 경신했으며, 하반기 들어 연초 저조했던 투자실적도 회복세를 보였다"며 "미국·유럽·일본 중심에서 중국, 중동 등으로 투자가 다변화된 것도 눈에 띈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도 미국의 견조한 성장세를 바탕으로 세계경제의 완만한 회복전망, 한·중 FTA 효과 및 외국인 투자환경 개선에 대한 지속적 노력으로 200억 달러 수준의 FDI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한편 산업부는 이달 말 중국 북경·상해 등에서 한·중 FTA 설명회, 1대 1 투자 상담회를 여는 등 중국을 중심으로 FDI 유치활동을 본격적으로 전개할 예정이다.
또 온실가스 감축 등 신기후변화체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에너지 신산업분야 해외 선진기술의 유치활동도 펼쳐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