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부총리는 5일 롯데호텔에서 열린 ‘2016년 범금융 신년인사회’에 참석 “연초부터 중국 증시 급락, 중동발 악재 등으로 국제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당분간 시장 변동성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글로벌 시장불안이 국내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변동성 증대 가능성에 상응해 금융 및 외환시장 모니터링과 안정노력을 한 단계 더 높여나가겠다”는 대응책을 밝혔다.
이날 신년사를 통해 최 부총리는 “우리 실물경제의 활력 저하와 금융시장 변동성 이면에는 낡은 금융시스템이 자리 잡고 있으며, 금융개혁이 없이는 경제 활성화도, 구조개혁도 절반의 성공에 불과하다”면서 “이러한 인식 하에 지난 1년간 우리는 금융개혁의 기반을 착실히 다져왔다”고 언급했다.
이어 “기술금융이 자리를 잡아나가고 인터넷 전문은행 예비인가, 크라우드펀딩 입법 등 혁신의 새바람이 불기 시작했지만 아직도 갈 길이 멀다”며 “변화에서 가장 힘든 것은 새로운 것을 생각해 내는 것이 아니라 이전에 가지고 있던 틀에서 벗어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따라서 “이대로는 안 된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틀을 깨는 개혁, 판을 새로 짜는 개혁을 해야 한다“며 ”금융은 역동적 혁신경제의 중추로 우리 산업의 창조경제 전환을 뒷받침하고 금융산업 자체가 고부가가치 창조산업이돼 경제성장과 고용 창출을 이끌어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금융회사의 지배구조도 단단해져야 한다”고 강조한 최 부총리는 “외환위기 이래 한 번도 개혁다운 개혁을 못한 우리의 금융산업,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 정부는 제대로 된 개혁, 흔들림 없는 개혁으로 국민이 체감하는 금융개혁을 반드시 이루어낼 것"이라며 금융인의 동참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