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 결과, 재무구조가 취약한 중소기업 1천934개 중 구조조정 대상기업은 175개로 지난해보다 50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이 같은 내용의 '2015년도 중소기업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자료를 11일 발표했다.
이번 평가는 채권은행이 평가대상 중소기업 1만7천594개를 대상으로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하고 그 중 재무구조가 취약한 기업등을 선정해 8월부터 3개월간 세부평가를 실시, 구조조정 대상기업을 최종 선정했다.
이는 경기침체 지속에 따른 기업의 경영실적 악화로 평가 대상기업이 증가했고, 채권은행들이 선제적인 기업구조조정 추진을 위해 엄격한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한데 따른 것이다.
결과자료에 따르면 구조조정 대상기업 175개 중 C등급은 70개로 지난해(54개)에 비해 16개 증가했고, D등급은 105개로 지난해(71개)에 비해 34개가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105개로 지난해(76개)에 비해 29개 늘어났고, 비제조업도 70개로 지난해(49개)에 비해 21개 늘어났다.
제조업은 전반적인 업황부진 등으로 전자부품(19개, 전년대비 5개↑), 기계 및 장비(14개, 5개↑), 자동차(12개, 6개↑), 식료품(10개, 7개↑) 업종 등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비제조업은 해운경기 부진 및 장기간 내수경기 침체 등으로 운수업(9개, 전년 대비 5개↑), 도소매업(14개, 3개↑), 부동산업(13개, 1개↑), 오락 및 레저서비스업(8개, 3개↑) 등의 구조조정 대상기업이 증가했다.
올해 9월말 기준 구조조정 대상기업(175개)에 대한 금융권의 신용공여액은 총 2조 2천204억원으로, 구조조정 추진에 따른 자산건전성 재분류로 인해 은행권은 약 4천504억원의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이 필요하게 됐다.
이에 따라 은행권의 BIS비율(6월말 기준)은 0.03%포인트(14.09%→14.06%) 하락할 것으로 예상돼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 관계자는 "평가결과 C등급 기업에 대해서는 신속한 금융지원 및 자구계획 이행 등을 통해 조속한 경영정상화를 추진하고, D등급 기업은 채권금융기관 지원없이 자체 정상화를 추진하거나 법원의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금감원은 향후 채권은행의 신용위험평가 업무 실태에 대한 현장점검을 실시해 관련업무 처리의 적정성을 확인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