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금년도 관세청 국정감사에서 논란이 됐던 '면세점-여행사 리베이트' 관행에 대해 경찰이 수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져 파장이 예상된다.
6일 경찰과 관련업계에 따르면, 서울지방경찰청 관광경찰대는 최근 국내 면세점과 여행사간 리베이트 수수과정에서 탈세 등 불법행위를 조장하는 혐의를 잡고 수사에 나섰다.
경찰은 국내 일부 여행사들이 중국인 관광객(유커)을 국내 대형면세점에 몰아주고 면세점에서 받은 리베이트를 탈세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이 과정에서 여행사들은 세무조사용 장부와 원본 장부 등 두 개의 장부를 통해 리베이트를 은닉하는 수법을 쓴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이 관행적으로 이뤄지던 ‘관광 리베이트’를 정조준해 수사에 나선 것은 처음으로,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금년도 관세청 국정감사에서도 면세점 리베이트 문제에 대한 심각성이 드러났다.
관세청이 올 국정감사에서 홍종학 의원(새정치민주연합)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국매 면세점 16곳이 지난 2009년부터 올 8월까지 6년간 여행사와 가이드에게 관광객을 데려오는 대가로 지급한 리베이트가 1조1천654억원에 달했다.
특히 이 가운데 83.8%인 9천768억원을 롯데면세점과 신라면세점이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들어서도 8월까지 여행사와 가이드에게 지급한 리베이트만 총 3천46억원으로 지난해 지급액 2천966억원을 이미 넘어섰다.
국감에서 홍 의원은 이같은 리베이트 급증은 저가 단체관광객이 많은 중국인 관광객의 증가에 따른 대기업 면세점들의 과당경쟁에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관광객 수가 2009년 782만명에서 2013년말 1천218만명으로 1.6배 늘어나는 동안, 단체관광이 많은 중국 관광객은 2009년 134만명에서 2013년 433만명으로, 리베이트 증가 규모와 비슷한 3배 이상 늘어났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홍 의원은 "중국인 단체 관광객 매출 비중이 증가하면서 이들을 자기 면세점으로 끌어오기 위해 대기업 면세점들의 경쟁이 치열해져 리베이트율도 같이 상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찰의 관광 리베이트 수사를 통해 업계의 탈세 행태가 어떤 형태로 드러날 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