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 인 : 2023년 8월13일 □ 빈 소 : 부산대학교병원장례식장 특1호실(부산 서구 구덕로 179) □ 연락처 : 02-3445-5353(동진관세법인)
□ 일 시 : 2023년 9월2일 오후 1시 40분 □ 장 소 : 웨스턴라이프호텔 B2 그랜드볼룸홀(전북 익산시 동서로 380) □ 연락처 : 031-895-5495(지평관세법인)
□ 일 시 : 2023년 9월2일 오후 1시 □ 장소 :대구 퀸벨호텔 1층 테라하우스홀(대구시 동구 동촌로 200) □ 연락처 : 053-759-9590(대구관세사무소)
□ 발 인 : 2023년 8월9일 □ 빈 소 : 부천성모병원장례식장 6호실(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소사로 327)
◇…지난 2015년 3월 국세청 최초로 3급 부이사관 세무서장 시대를 연 이후 이번 8월7일자 서장급 인사까지 총 10명의 부이사관 강남세무서장이 임명된 가운데, 9년여 동안 강남세무서장을 역임한 이들의 출신지와 공직 임용 형태가 편향된 것으로 나타나 눈길. 국세청내 '부이사관 세무서장'은 강남·성남·분당·제주세무서 4곳에 달하나, 이 가운데서도 강남세무서장 직위는 '부이사관 세무서장 효시'라는 상징성과 '서울 강남'이라는 지역 특성이 더해져 인사 때마다 국세청 내부는 물론 세무대리인 등 세정가에서도 큰 관심을 보이기 일쑤. 부이사관으로 승격된 지난 2015년 3월부터 현재까지 총 10명의 전·현직 세무서장의 출신지역을 살피면, 경북 6명·경남 1명·전남 2명·전북 1명 등 경북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영·호남을 제외한 지역출신은 강남세무서장을 역임한 전례가 없는 것으로 확인. 특히 이번에 임명된 현직 서장을 포함해 4연속 경북 출신이 강남세무서장을 거머쥐는 등 ‘강남세무서장=TK 출신’이라는 비공식 인사패턴마저 세정가 인사들에게 각인될 판. 또한 지금까지 9명의 서장 가운데 무려 7명이 강남서장을 끝으로 명예퇴임하는 등 세무사 개업지로서 강남세무서를 여전히
□ 발 인 : 2023년 8월6일 □ 빈 소 : 대전한국병원 장례식장 2호실(대전광역시 동구 동서대로 1672) □ 연락처 : 041-578-8051 (열린관세사무소)
◇…8월7일자 고위공무원 승진을 포함해 김창기 국세청장 취임 이후 네차례 단행된 고공단 승진인사는 '행시 출신 절대적 우위', 'TK 약진'으로 요약. 윤석열정부 출범 이후 네차례 승진인사에서 모두 11명이 고공단에 올랐는데, 임용구분별로 보면 행정고시(행시) 출신이 8명으로 72.7%를 차지했으며, 비행시 3명은 국립세무대학(세대) 2명과 7급공채 1명으로 분류. 현재 전국 7명의 지방국세청장 가운데 비행시는 3명으로, 고공단내 행시 및 비행시 인력풀을 감안하면 비행시 우대 기조를 엿볼 수 있으나, 정작 지방청장에 오르기 위한 고공단 승진에서는 행시 출신들이 절대적인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셈. 이와 관련, 국세청 정원은 2만1천700명(작년 10월 기준)으로 전체 직원의 98% 이상이 비행시 출신이지만, 최상층부인 고공단 41명 가운데 비행시는 6명(개방직 제외)으로 14.6%에 그치는 등 공직 말단으로 시작해 고위직에 오를 수 있다는 희망은 갈수록 옅어지는 형국. 고공단 인력풀의 ‘행시 쏠림’에 이어, 지역적으로도 영남 출신이 전체 승진자의 과반을 넘는 등 정권의 지역기반에 따라 고공단을 배출하는 특정지역 또한 확연히 구분. 김창기 국세청장이 임명한 11
<실장급 전보인사> □대변인 김성욱(국제경제관리관) -2023. 8.4자-
□ 고위공무원 승진 (4명) 중부지방국세청 조사3국장 박광종 (서울청 납세자보호) 부산지방국세청 성실납세지원국장 윤승출 (중부청 납세자보호) 부산지방국세청 징세송무국장 박병환 (인천청 조사1) 부산지방국세청 조사2국장 김태호 (서울청 감사) □ 부이사관 전보 (9명) 서울지방국세청 감사관 한경선 (국세청) 서울지방국세청 징세관 김승민 (국세청) 서울지방국세청 납세자보호담당관 공석룡(인천청 성실납세) 서울지방국세청 과학조사담당관 강종훈 (대전청 성실납세) 강남세무서장 김길용 (서울청 징세) 중부지방국세청 납세자보호담당관 장신기 (국세청) 인천지방국세청 성실납세지원국장 남우창 (국세청) 인천지방국세청 조사1국장 윤창복(서울청 과학조사) 대전지방국세청 성실납세지원국장 강동훈 (국세청) (2023. 8. 7. 字 )
발 인: 2023년 8월 3일(목) 빈 소: 광주 천지장례식장 101호실 연락처: 062-515-3037(사무소)
□ 상 호 : 대명세무법인 □ 일 시 : 2023년 8월 18일(금) □ 장 소 : 대구시 동구 동부로30길 91 DS빌딩 7층 □ 연락처 : 053-741-1501 / 010-9360-4103
□ 발 인 : 2023년 8월3일 □ 빈 소 : 태릉성심장례식장 2호실(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680-8) □ 연락처 : 02-546-8505(동아관세법인)
1 투자·고용 촉진 (1) 영상콘텐츠 투자 세제지원 확대 ① 영상콘텐츠 제작비용 세액공제 확대(조특법 §25의6) 현 행 개 정 안 □ 영상콘텐츠* 제작비용 세액공제 * 드라마·애니메이션·다큐멘터리 등 TV프로그램, 영화, OTT콘텐츠 ㅇ 공제율 - 대/중견/중소: 3/7/10% <신 설> □ 세액공제 확대 ㅇ 공제율 상향 및 추가공제 신설 - (기본공제율) 대/중견/중소: 5/10/15% - (추가공제율*) 대/중견/중소: 10/10/15% * 국내 제작비 비중이 일정 비율 이상인 콘텐츠 등에 적용(시행령에서 규정) <개정이유> 콘텐츠산업 글로벌 경쟁력 제고 <적용시기> ‘24.1.1. 이후 발생하는 제작비용부터 적용 ② 문화산업전문회사 출자에 대한 법인세 세액공제 특례 신설
1 서민·중산층 부담 경감 (1) 장기 주택저당 차입금 이자상환액 소득공제 확대(소득법 §52⑤⑥) 현 행 개 정 안 □ 장기 주택저당 차입금 이자상환액 소득공제 ㅇ (대상) 무주택 또는 1주택인 근로자 □ 공제한도 상향 및 적용대상 확대 ㅇ (좌 동) ㅇ (공제한도) 300~1,800만원 상환기간 15년 이상 상환기간 10년 이상 고정금리 + 비거치식 고정금리 또는 비거치식 기타 고정금리 또는 비거치식 1,800만원 1,500만원 500만원
1 결혼·출산·양육 지원 (1) 혼인에 따른 증여재산 공제 신설(상증법 §53의2) 현 행 개 정 안 □ 증여재산 공제* * 증여자별 아래 금액을 증여세 과세가액에서 공제하고, 수증자 기준 10년간 공제금액과 합산하여 초과분은 공제제외 ㅇ 배우자: 6억원 ㅇ 직계존속: 5천만원 (단, 수증자가 미성년자: 2천만원) ㅇ 직계비속: 5천만원 ㅇ 직계존비속 외 6촌 이내 혈족, 4촌 이내 인척: 1천만원 <신 설> ㅇ (좌 동) □ 혼인 증여재산 공제 ㅇ 아래 요건 모두 충족 시 증여세 과세가액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