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 1급 등 고공단 인사가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조직 내부 뿐만 아니라 세정가에서도 ‘도대체 왜?’라는 질문을 던지며 이런 저런 억측까지 등장. 지방청장 명퇴 후 2주일 넘게 기관장 공석 사태가 이어지자 세정가에서는 ‘고공단 인사검증 진행과정에서 뭔가 문제가 있는거냐’ ‘누군가 특정 보직을 원한다’ ‘청와대와 인사조율이 원활하지 못한 거냐’ 등등 인사지연 배경을 놓고 여러 뒷얘기가 회자. 일각에서는 ‘이러다 예상 외의 인물이 등장하는 파격인사가 있을 수도 있겠다’는 관측까지 내놓고 있으며, 예상을 벗어나 의외의 인사가 단행되면 조직원들이 술렁일 수 있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제기. 이번 고위직 인사가 상당기간 지연되자 PK 출신을 비롯해 TK 출신 국장들도 주목을 받고 있는데, 이들이 1급 또는 2급 지방청장 후보군 및 핵심보직의 하마평에 추가로 오르내리고 있기 때문. 세정가에서는 대대적인 검찰 개혁인사가 단행되고 있고,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권력기관에 대한 법적·제도적·행정적 개혁을 멈추지 않겠다”고 약속한 점에 비춰 권력기관에 속한 국세청 간부 인사 역시 개혁인사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는 관측도 조심스럽게 제기. 세정가 한 인사는 “올해 만만치
1. 들어가며 국세기본법은 세무조사 대상자 선정 사유를 법률로 정하고 있다. 세무조사 선정 사유에 해당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세무조사를 개시하였다면, 이에 따른 처분은 위법하다는 것이 대법원의 확립된 판례이다. 소송 과정에서 납세자가 세무조사 대상자 선정 사유에 위법이 있다고 주장하는 경우, 통상 처분의 적법성(세무조사 대상자 선정 사유에 위법이 없음)에 대해서는 과세관청(피고)이 입증을 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세무조사 대상자 선정 사유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는 경우에, 법원이 과연 어떠한 판단을 내릴 것인지에 대해 최근 흥미로운 하급심 판결이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2. 사실관계, 원고의 주장 및 법원의 판단 가. 사실관계 원고는 2007. 6. 00. ㅇㅇ시에서 종이포대 제조업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이다. 원고의 법인등기부 등본의 기재에 의하면, 설립 당시 원고의 대표이사는 AAA이었으나, 2011. 10. 00. 대표이사가 BBB로 변경되었고, 2012. 10. 00.부터 2015. 1. 00.까지 CCC이 대표이사로 근무하였으며, 2015. 1. 00.부터는 DDD이 대표이사로 근무하고 있다. 원고가 설립 당시 발행한 주식은 40,000주(1주
남성훈 관세청 비서관 ▷65년생 ▷대구 ▷청구고 ▷세무대학 ▷8급 경채 ▷대구세관 세관운영과장 ▷부산세관 감시총괄과장 ▷속초세관장 ▷연수원 인재개발과장 박철완 관세청 운영지원과장 ▷68년생 ▷경남 고성 ▷학성고 ▷세무대학 ▷방송대 경영학과 ▷8급 경채 ▷관세청 자유무역협정협력담당관실 ▷관세청 원산지지원담당관실 ▷울산세관 통관지원과장 ▷관세청 인사관리담당관실 임현철 관세청 원산지지원담당관 ▷70년생 ▷서울 ▷서울경신고 ▷서울시립대 법학과 ▷한국외대 공공정책학 석사 ▷행시47회 ▷관세청 국제조사팀장 ▷주인도네시아대사관 1등서기관 ▷관세청 국제협력팀장 김종호 관세청 심사정책과장 ▷72년생 ▷대구 ▷영진고 ▷경북대 경영학과 ▷행시 40회 ▷관세청 정보기획과장 ▷부산세관 조사국장 ▷인천세관 휴대품통관1국장 ▷울산세관장 김재홍 관세청 법인심사과장 ▷64년생 ▷서울 ▷세무대학 ▷방송대 법학과 ▷8급 경채 ▷인천세관 세관운영과 ▷인천세관 마약조사과장 ▷서울세관 심사총괄과장 ▷포항세관장 김현석 관세청 기획심사팀장 ▷70년생 ▷경북 성주 ▷대구 경신고 ▷서강대 경제학과 ▷행시49회 ▷관세청 사업총괄과장 ▷안양세관장 ▷관세청 비서관 ▷관세청 조사총괄과장 정기섭 관세청 외환조사과
◆외부감사법 □유한회사 외부감사[외부감사법(법률 제15022호, 이하 “법”) §4 및 부칙 §2] ㅇ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유한회사는 외부감사 대상이 됨 ☞2019.11.1. 이후 시작되는 사업연도부터 적용 ①직전 사업연도 말 자산총액이 500억원 이상 유한회사 ②직전 사업연도 매출액 500억원 이상 유한회사 ③다음 사항 중 3개 이상에 해당하지 않는 유한회사 직전 사업연도 말 자산총액 120억원 미만 직전 사업연도 말 부채총액 70억원 미만 직전 사업연도 매출액 100억원 미만 직전 사업연도 말 종업원 100명 미만 직전 사업연도 말 사원 50명 미만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법 §8⑥ 단서 및 부칙 §3] ㅇ주권상장법인의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감사인의 인증수준이 “검토”에서 “감사”로 상향 ☞2019사업연도부터 순차적으로 적용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적용례 직전 사업연도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주권상장법인 : 2019년 사업연도부터 직전 사업연도 자산총액 5천억원 이상 주권상장법인 : 2020년 사업연도부터 직전 사업연도 자산총액 1천억원 이상 주권상장법인 : 2022년 사업연도부터 전체 주권상장법인 : 2023년 사업연도부터 □주권상장법인 감사인
상호: 세무법인 참솔 일시: 2020년 1월 15일(수) 10-21시 장소: 충남 서산시 공림4로 20 (채움빌딩 202호) 연락처: 041) 667-8119
□ 국세청 홈택스(www.hometax.go.kr) ⇨ 조회/발급 ⇨ 연말정산간소화 * ‘본인인증’이란 공인인증서, 휴대전화, 신용카드 등으로 본인임을 증명하는 것임.
국세청은 올해부터 연말정산 대부분의 과정을 스마트폰으로도 가능하도록 모바일 연말정산서비스를 개선했다. 다음은 손택스(모바일)에서 제공하는 연말정산 서비스. □ 국세청 손택스(모바일) ⇨ 조회/발급 ⇨ 연말정산서비스 * 1), 2)의 서비스는 회사가 국세청 홈택스에서 제공하는 「편리한 연말정산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에만 소속 근로자가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임. * 3)‘본인인증’이란 공인인증서, 휴대전화로 본인임을 증명하는 것임.
근로자들은 연말정산 소득·세액공제 확인 전 부양가족 자료제공 동의를 먼저 신청해야 한다. 동의신청을 해야 내역을 조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청 방법은 홈택스·손택스를 이용한 신청방법과 세무서 방문 신청 등 2가지 방법이 있다. □국세청 홈택스 및 손택스(모바일)를 이용한 동의 신청 방법 국세청 홈택스에서 본인인증수단이 있는 경우에는 공인인증서・휴대폰・신용카드를, 없는 경우에는 온라인・팩스신청 방법으로 자료제공 동의 신청을 할 수 있다. PC에서는 홈택스에 접속해 조회/발급, 연말정산 간소화 순으로 들어가 자료제공 동의신청을 하면 된다. 모바일로는 손택스앱에 접속해 조회/발급, 연말정산서비스, 제공 동의 신청 순으로 들어가면 된다. □ 세무서 방문 동의 신청방법 세무서에 방문해 동의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부양가족(자료제공자)가 신분증을 갖고 가까운 세무서에 방문해 자료제공자가 서명한 '소득・세액공제 정보제공 동의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다만, 외국인 또는 최근 3월 이내 결혼 등 가족관계 변동이 있는 경우 가족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가족관계증명서 등)를 지참해야 한다. 부양가족 본인 외의 대리인이 방문 신청하는 경우에는 대리인과 신청인의 신분증 사본,
“△” : 영수증 발급기관이 자율적으로 제출하는 자료로 조회되지 않을 수 있음. ⇨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에서 제공받은 내역이 실제와 다르거나, 자료가 조회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영수증 발급기관에서 소득・세액공제 증명서류를 직접으로 발급받아 회사에 제출해야 한다.
아는 만큼 돌려받는 '13번째 월급' 연말정산 시즌이 돌아왔다. 연말정산은 매년 세법개정을 통해 각종 소득·세액공제 범위가 바뀐다. 이와 관련,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점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소득공제는 세금을 부과하는 대상이 되는 총급여액에서 일정한 금액을 공제하는 제도를 말한다. 즉 총 소득금액에서 일정 금액을 빼 소득규모를 줄인 뒤 이를 토대로 세금을 계산하는 방식이다. 근로소득공제와 인적공제, 연금보험료공제, 특별소득공제 등이 있다. 총 급여액에서 각종 소득공제금액을 빼고, 세금을 계산하는 기초가 되는 과세대상 금액인 과세표준을 계산한다. 세액공제는 과세표준에서 세율을 적용해 계산된 산출세액에서 일정한 비율이나 금액을 공제하는 금액을 말한다. 세금을 계산한 후 일정금액을 깎아주는 것이다. 근로소득 세액공제, 자녀 세액공제, 연금계좌 세액공제, 특별세액공제(보험료, 교육비, 의료비, 기부금) 등이 있다.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항목
발인: 2020년 1월 11일(토) 오전 7시 빈소: 분당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5호실(2층)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173번길 82) 장지: 성남 영생원 연락처:02-6958-6656
상호: 세무그룹 정성 일시: 2020년 1월15일(수) 11:00~21:00 장소: 인천시 연수구 학나래로 118번길 9 선학프라자 216호 사무실: 032-816-4200
□ 참여예산과장 권기정(공공계약심사팀장) 【2020. 1. 9日字】
△국세청 기획조정관 혁신정책담당관실 김슬기(인천청 조사관리) △국세청 기획조정관 혁신정책담당관실 김요환(국세청 비상안전) △국세청 기획조정관 국세통계담당관실 김경민(국세청 비상안전) △국세청 기획조정관 국세통계담당관실 박상기(창원) △국세청 기획조정관 비상안전담당관실 김철웅(북대전) △국세청 전산정보관리관 국세청빅데이터센터 김인천(동고양) △국세청 전산정보관리관 국세청빅데이터센터 전상규(대구청 법인납세) △국세청 전산정보관리관 국세청빅데이터센터 전소연(성동) △국세청 전산정보관리관 국세청빅데이터센터 정병호(인천청 조사관리) △국세청 전산정보관리관 국세청빅데이터센터 하세일(해남) △국세청 전산정보관리관 전산기획담당관실 김건우(국세청 정보화2) △국세청 전산정보관리관 전산기획담당관실 김현하(대전) △국세청 전산정보관리관 전산기획담당관실 박미숙(북대전) △국세청 전산정보관리관 전산기획담당관실 박승현(국세청 감찰) △국세청 전산정보관리관 전산기획담당관실 이미라(동청주) △국세청 전산정보관리관 전산기획담당관실 이성욱(반포) △국세청 전산정보관리관 전산기획담당관실 이현도(동울산) △국세청 전산정보관리관 전산기획담당관실 조광진(김포) △국세청 전산정보관리관 전산기획담당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