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천연가스 탄력세율 적용 물품의 범위 조정(개소칙 §1②) 현 행 개 정 안 □ 탄력세율이 적용되는 ‘발전용 외’ 천연가스의 범위 ㅇ 일반도시가스 사업자 및 충전사업자에게 공급되는 수입 천연가스 ㅇ 도시가스 사업자가 수입한 도매용 외의 천연가스 ㅇ 직수입자가 수입한 산업용 ‧열전용 설비용 천연가스 □ ‘발전용 외’ 천연가스에 국내생산 천연가스 포함 ㅇ 도시가스사업자*에게 공급되는 수입 천연가스 또는 국내생산 천연가스 * 도시가스사업자 = 일반도시가스사업자 + 충전사업자 + 가스도매사업자 ㅇ (좌 동) <개정이유> 수입 천연가스와 동일하게 국내생산 천연가스에도
(1) 저부가가치 용역 접근법의 적용배제 기준(국조칙§2의3 신설) < 시행령 개정내용(§6의2③) > □ 저부가가치 용역 접근법*의 적용배제 * 거주자와 국외특수관계인의 핵심 사업과 직접 관련 없는 통상적 용역거래의 경우 용역의 원가에 5%를 가산한 금액을 정상가격으로 간주 ㅇ 해당 사업연도 저부가가치 용역의 원가에 5%를 가산한 금액의 합계가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금액 초과 시 저부가가치 용역 접근법 미적용 ⇒ 독립기업원칙 적용 현 행 개 정 안 <신 설> □ 적용배제 기준 금액 ㅇ 거주자 매출액의 5%, 영업비용의 15% 중 작은 금액 <개정이유> 저부가가치 용역 접근법의 적용범위 합리화 <적용시기> ‘20.1.1 이후 개시하는 과세연도 분부터 적용
(1) 품목분류 사전심사 및 재심사 반려사유(관세칙 §33조의2 신설) < 시행령 개정내용(§106③) > □ 품목분류 사전심사 및 재심사 반려사유 ㅇ 신청인이 요청하는 경우 및 당해 물품과 관련하여 불복 또는 소송이 진행 중인 경우를 반려사유에 추가 → 그 밖에 반려사유는 기획재정부령에 위임 현 행 개 정 안 <신 설> □ 품목분류 사전심사 및 재심사 반려사유 ㅇ 농산물혼합물로서 제조공정이 규격화되어 있지 아니하여 성분·조성의 일관성 확보가 곤란한 경우 ㅇ 냉장·냉동 물품과 같이 운송수단 및 저장방법 등에 따라 상태가 달라질 수 있는 경우 <개정사유> 품목분류 사전심사․재심사 신청 반려 사유 명확화 <적용시기> 규칙 시행일 이후 신청하는 분부터 적용 (2) 학술연구용품 감면대상 확대(관세칙 §37②) 현 행
(1) 관세법인 등록 신청의 규제 타당성 재검토 조항 삭제(관세사칙 §8) 현 행 개 정 안 □ 규제의 타당성을 재검토하여 개선 등의 조치(매 3년) ㅇ 관세법인의 등록 신청 ㅇ 통관취급법인 등의 등록 요건 □ 관세법인 등록 신청의 규제 타당성 재검토 조항 삭제 <삭 제> ㅇ (좌 동) <개정이유> 국무조정실 심사 결과 “일몰규제 재검토” 대상에서 제외 <적용시기> 규칙 시행일 이후부터 적용
(1) 세무사 실무교육의 규제 타당성 재검토 조항 삭제(세무사칙 §20) 현 행 개 정 안 □ 규제의 타당성을 재검토하여 개선 등의 조치(매 3년) ㅇ 세무사 실무교육 <삭 제> <개정이유> 국무조정실 심사 결과 “일몰규제 재검토” 대상에서 제외 <적용시기> 규칙 시행일 이후부터 적용
(1) 한도수량내 협정관세율 적용 관련 체약상대국에 영국 추가(FTA관세칙 §3②) 현 행 개 정 안 □ 한도수량내 협정관세율 적용 관련 추천방안 협의 대상 국가 □ 한-영 FTA 협정을 반영하여 영국을 추가 ㅇ EU, 미국 및 중국 ㅇ EU, 미국, 중국 및 영국 <개정이유> 한-영 FTA 협정을 반영하여 협의대상 국가 추가 <적용시기> 영국과의 FTA 협정이 발효되는 때부터 적용
(1) 직접운송원칙 증빙서류 규정 명확화(규칙 §8③) 현 행 개 정 안 □ 직접운송원칙 증빙서류 (다음 서류를 모두 제출) ㅇ 통과선하증권 ㅇ 원산지증명서, 상업 송품장 원본 ㅇ 직접운송 원칙 준수를 증명하는 보충 서류 □ 증빙서류 명확화 (다음 서류 중 하나를 제출) ㅇ (좌 동) <삭 제> ㅇ (좌 동) <개정이유> 협정 취지를 반영하여 직접운송 증빙 서류 규정 명확화 <적용시기> 규칙 시행일 이후 제출 분부터 적용
발 인: 2020년 2월 12일(수) 빈 소: 화순전남대병원 장례식장 1분향소 연락처: 062-361-4454(광주지회)
◇…국세청을 4대 권력기관의 하나로 칭하는 이유인 조사국장 인사가 최근 마무리된 가운데, 본.지방청 조사국장(고공단) 11명 가운데 9명을 行試 출신이 차지했으며, 그 중에서도 엘리트 그룹인 ‘서울대·행시’ 출신이 절반이 넘는 6자리에 포진해 눈길. 본청 조사국장을 비롯해 서울청 조사국장 5명, 중부청 조사국장 3명, 부산청 조사국장 2명을 분석한 결과, 임용구분별로는 행시 9명, 7급공채 1명, 稅大 1명으로 분포됐는데, 행시 9명은 38회와 39회가 각각 3명, 37.40.41회가 각각 1명으로 38회와 39회가 조사국 핵심으로 떠오른 상황. 행시38회가 본청 조사국장을 비롯해 대기업 조사를 맡는 서울청 조사1국장, 특별조사를 맡는 서울청 조사4국장을 차지하고 있는 점도 이채. 이들을 출신지역별로 보면 전북이 3명으로 가장 많고, 경남.경기.충남이 각각 2명, 서울과 경북 출신이 각각 1명씩 분포. 출신대학별로는 서울대가 6명으로 절반을 넘었으며, 고려대 2명, 연세대와 서울시립대·稅大가 각각 1명. 특히 11명의 조사국장들은 조사국 경력이 풍부한 이들이 대부분인데, 이는 조사국장 인사의 우선적인 고려사항이 풍부한 조사경력이라는 점을 읽을 수 있는 대목.
●2019년 세목별 국세수입 실적(단위:억원, %) 구 분 ’18년 실적 ’19년 예산 ’19년 결산 ’18년 실적대비 ’19년 예산대비 증감액 증감률 증감액 증감률 총 국 세 2,935,704 2,947,919 2,934,543 △1,161 (△0.0) △13,376 (△0.5) 소 득 세 844,616 803,678 835,620 △8,996 (△1.1) 31,942 (4.0) ㆍ종합소득세 174,826 177,915 167,780 △7,046 (△4.0) △10,135
◇…국세청이 10일자로 단행한 고위공무원 승진자 3명은 임용구분별로 행시 2명, 稅大 1명, 출신지역별로는 인천 1명, 전남 1명, 경남 1명으로 분류. 이들의 부이사관 승진일을 따져보면 2018년 8월 승진자 2명, 2017년 9월 승진자 1명으로, 짧게는 1년6개월에서 길게는 2년5개월 만에 고공단 반열에 등극. 이번 인사에서는 2018년에 부이사관으로 승진한 이들이 고공단으로 승진하기 시작했으나, 2017년 부이사관 승진자 4명은 아직까지 고공단 승진의 꿈을 이루지 못해 아쉽다는 반응. 한편 문재인정부가 출범한 지난 2017년 5월 이후 국세청 고위공무원 승진자는 모두 22명으로, 임용구분별로는 행시 출신이 16명으로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뒤이어 세대 5명, 7급 공채 1명. 22명 승진자의 출신지는 전북이 6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남(부산) 4명, 전남 4명, 서울 2명, 경기 2명, 경북 2명, 충남(대전) 2명 순.
□ 고위공무원 “나”급 전보(1명) 국세청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민주원 (국세청) □ 고위공무원 “나”급 승진(3명) 부산지방국세청 징세송무국장 김진호(인천청 조사1) 국세청 (국립외교원) 이경열(중부청 감사) 〃 (국방대학교) 박해영(대전청 조사1) □ 부이사관 전보(9명) 서울지방국세청 감사관 김재웅 (중부청 납세보호) 〃 징세관 박종희 (대구청 조사1) 〃 납세자보호담당관 김대원 (국세청 주류센터) 중부지방국세청 감사관 윤종건 (국세청) 〃 납세자보호담당관 박광수 (국세청) 인천지방국세청 성실납세지원국장 구상호 (서울청 징세) 〃 조사1국장 심욱기 (서울청 납세보호) 대전지방국세청 조사1국장 김성환 (국세청) 대구지방국세청 조사1국장 이응봉 (서울청 감사) □ 과장급 전보(2명) 국세청 주류면허지원센터장 김기완(국세청) 국세청 (세종연구소) 이요원(국세청) ( 2020. 2. 10. 字 )
■과장급 원내 전보 △1심판부 1조사관 이주한(4심판부 9조사관) △3심판부 7조사관 김병철(3심판부 8조사관) △4심판부 9조사관 이용형(3심판부 7조사관) △5심판부 12조사관 최영준(2심판부 6조사관) ■서기관 원내 전보 △1심판부 1조사관실 임홍규(5심판부 12조사관실) △2심판부 6조사관실 지장근(6심판부 13조사관실) △3심판부 8조사관실 박정민(1심판부 1조사관실) ■사무관 원내전보 △1심판부 1조사관실 이성호(4심판부 9조사관실) △1심판부 2조사관실 조광래(6심판부 14조사관실) △1심판부 2조사관실 한나라(5심판부 12조사관실) △1심판부 3조사관실 윤근희(4심판부 10조사관실) △2심판부 5조사관실 장용희(4심판부 10조사관실) △2심판부 5조사관실 현희성(3심판부 8조사관실) △2심판부 5조사관실 강경관(3심판부 8조사관실) △2심판부 6조사관실 윤연원(2심판부 5조사관실) △3심판부 7조사관실 송 현(5심판부 11조사관실) △3심판부 7조사관실 신정민(1심판부 2조사관실) △3심판부 8조사관실 남연화(3심판부 7조사관실) △3심판부 8조사관실 배주형(2심판부 5조사관실) △4심판부 9조사관실 김기범(3심판부 8조사관실) △4심판부 9조
상호: 세무법인 호연 일시: 2020년 2월 12일(수) 11:00~21:00시 장소: 경기도 성남시 황새울로 360번길 19, 금화빌딩 501호 연락처: 031- 2756-4616
상호: 박은학 세무회계사무소 일시: 2020년 2월 13일(목) 11:00~21:00시 장소: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삼천병마로 1060, 부림설영B/D 2층 연락처: 031-291-1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