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원 재정경제부 제1 차관은 24일 “적립식 펀드 등 자본시장에 대한 세제혜택을 현재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박 차관은 이날 출입기자들과 가진 정례브리핑을 통해 “간접투자펀드 등에 현재 자본이 많이 들어가고 있기 때문에 세제감면에 대한 필요성이 적다”며 이 같이 밝혔다고 국정브리핑지가 전했다.
그는 특히 “올해 세입사정이 좋지 않아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면 추가적인 세제감면을 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박 차관은 참여정부 2년 반의 경제운영 평가에 대해 “참여정부의 경제정책 방향에서는 근본적으로 잘못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은 별로 없다”며 “다만, 당초 생각했던 속도로 정책을 실천에 옮기지 못한 측면이 있어 아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
그는 “참여정부가 부작용을 감수하고라도 성장을 높일 수 있는 정책수단들이 쓸 수 있었으나 그러한 정책을 쓰지 않겠다는 입장이었다”며 “보다 근본적인 문제해결에 주력하다 보니 결과적으로 성장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부작용 없는 정책은 없고, 얻는 것이 더 많은 정책이 가치 있는 정책”이라며 “부동산 정책도 예상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지막 작업 중”이라고 덧붙였다.
박 차관은 참여정부의 경제정책이 국민들로부터 낮은 점수를 받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우리 사회 각 분야에서 다양하게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라며 “경제정책의 최종적 결과물로서 성장률과 고용창출 등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인 것도 한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박 차관은 참여정부 하반기 경제운용 방향과 관련해서는 “금년 하반기 이후 잠재성장률 수준으로 성장궤도로 복귀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확장적 거시정책 기조를 유지하면서 고유가 등 하방위험 요인을 면밀히 점검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
최근 노무현 대통령이 경제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는 지적과 관련해 “경제정책이나 경제성장은 궁극적으로 다른 여러 가지 정책목표들을 추구하는 데 필수적인 수단”이라며 “국가를 운영하는 사람으로서 경제를 소홀하게 대할 수 없다”고 말했다.
박 차관은 유류세 인하와 관련해 “현재의 재정사정이 지출을 확대하는 방법을 통해 정책목료를 달성하는 방향으로 하기엔 상당히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인터넷 뉴스매체팀
web@taxtimes.co.kr
web@tax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