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5.06. (화)

기타

착오발행한 확인서인해 신고납부 불이행했다면 가산세추징 못한다

행자부 심사결정


부동산 매입후 처분청이 착오 발행한 비과세확인서를 믿고 등록세 등을 기한내에 신고·납부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가산세를 추징한 것은 잘못이라는 결정이 나왔다.

이같은 결정은 학교법인 ○○학원 吳某 이사장이 지난 1월 행정자치부를 상대로 낸 가산세 부과 취소 심사청구에서 밝혀졌다.

행자부에 따르면 처분청은 청구인이 지난 '97년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일대 토지 7백5㎡와 건축물 1천6백8.7㎡를 취득한데 대한 취득세 등을 비과세했으나 이 사건 부동산을 임대업에 사용하고 있다하여 그 취득가액을 과세표준으로 가산세 포함, 8천49만6천원을 부과 고지했다.

이에 청구인은 ○○고교를 운영하는 학교법인으로 이 사건 부동산을 '97.3월 서울시 교육감으로부터 수익용 기본재산으로 취득허가를 받아 동년 5월 처분청에서 비과세확인서를 발급받았는데 처분청은 취득세 등을 추징하면서 기한내 신고미납으로 가산세까지 추징하는 것은 신의성실원칙에 위배된다고 주장하며 부과처분 중 가산세의 취소를 요구했다.

행자부는 결정문을 통해 `청구인이 그 의무해태를 탓할 수 없는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가산세를 부과할 수 없다'고 밝히고 `청구인이 비과세 신청을 한 이 사건 부동산은 수익용 기본재산으로서 취득세 및 등록세 등의 비과세 대상이 되지 않는데도 처분청이 등록세 등의 비과세확인서를 발급했다'며 `청구인은 이를 믿고 신고·납부기한내에 취득세 등을 신고납부하지 아니한 것은 청구인에게 그 의무해태를 탓할 수 없는 정당한 사유가 있다고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처분청에서 신고납부의무 불이행에 대한 책임을 청구인에게 돌려 가산세를 가산한 것은 잘못이라고 결정하고 가산세를 제외한 6천7백86만원으로 정정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