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9.06. (토)

내국세

대출금 미승계 소유권이전땐 稅면제

행자부 심사결정


아파트 취득신고후 대출금 승계가 이뤄지지 않아 경매로 제3자에게 소유권이 이전된 경우 취득세 부과는 부당하다는 결정이 나왔다.

이같은 결정은 지난해 12월 ○○시 ○○구 ○○동 푸른뫼 아파트에 거주하는 최某씨가 행정자치부를 상대로 낸 심사청구에서 밝혀졌다.

행자부에 따르면 최씨는 지난해 3월 ○○시 ○구 ○○동 소재 푸른뫼 아파트를 같은해 3월 잔금지급일로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그 계약상 잔금지급일로 계약서에 검인받고 취득신고를 했다. 처분청은 최씨가 신고후 30일내에 취득세를 납부하지 않자 이 아파트 취득가액에 따라 취득세 등 3백14만4천원을 부과 고지했다. 그러나 최씨는 매매계약시 매매대금 중 일부는 前 소유자의 대출금을 승계받는 것으로 하고 승계받는 과정에서 대출금에 대한 연체이자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최씨는 연체이자를 변제하고 대출금 승계를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해 줄 것을 촉구했으나 매도인이 이를 이행하지 않아 결국 이 사건의 아파트를 취득하지 못했다. 그 후 경매로 제3자에게 이 아파트의 소유권이 이전됐고 처분청은 이 사건 아파트를 최씨가 소유한 것으로 보고 취득세를 부과 고지한 것.

행자부는 결정문에서 이 사건 심사청구는 취득세 납세의무가 성립하였는지 여부에 관한 다툼이라고 전제하고 지방세법 제104조제8호와 같은법 제105조제2항, 법 시행령 제73조제1항제1호와 법 제111조제5항 등의 근거를 바탕으로 심사를 진행했다.

이 결과 청구인은 2001.3월 청구 외 한某씨와 이 사건 아파트에 대하여 매매계약을 체결하면서 그 계약서에 특이사항으로 매매대금 지급을 양도일 현재 등기부에 표시된 하자금액(근저당권, 압류, 가압류)은 공제하기로 기재했고 계약상 잔금지급일인 2001.3.13 검인을 받아 취득신고를 했으나 소유권등기는 하지 않았다. 이 상태에서 근저당권을 설정했던 주택은행이 대출금 연체를 이유로 2001.4.26 임의경매 개시신청을 해 2001.11월 이 사건 아파트는 청구 외 이某씨에게 경락으로 소유권이 이전됐다. 이에 따라 행자부는 청구인이 이 사건 아파트에 대한 前 소유자의 대출금을 승계받음으로써 잔금지급이 이뤄진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전제하고, 처분청이 이 사건 아파트를 취득한 것으로 보아 취득세를 부과 고지한 처분은 잘못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